로켓아이
김민우 지음 / 노란돼지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숲노래 그림책 2023.5.1.

그림책시렁 1225


《로켓아이》

 김민우

 노란돼지

 2023.1.16.



  칼 세이건 님이 1985년에 선보인 글이 1997년에 《Contact》라는 책으로 태어났고, 1997년에 보임꽃(영화)으로 태어납니다. 보임꽃은 글을 모두 담아내지 못 하지만, 여러모로 줄기는 잡을 수 있습니다. “첫째, 푸른별에서 사람들이 뚝딱거리는 쇳덩이로는 온누리를 가로지를 수 없다. 둘째, 넘기(너머로 가기)를 하려면 쇳덩이에 기대는 몸이 아니라, 몸을 내려놓는 마음이어야 한다. 셋째, 어제·오늘·모레는 언제나 하나이다. 넷째, 어린이가 푸른숲에서 마음껏 뛰놀 적에 비로소 어른으로 자라는데, 푸른숲을 등지거나 모른 채 배움터(학교)에 길들면 철없는 늙은몸으로 클 뿐이다.”처럼 몇 가지를 짚을 만하지요. 《로켓아이》를 읽으며 자꾸 보임꽃 〈Contact〉를 떠올립니다. 적어도 아이들이 ‘쇳덩이’로는 푸른별 밖으로도 못 갈 뿐 아니라, 달에 내려도 달이 무엇인지 알 길이 없습니다. 우리 ‘몸’은 ‘푸른별에서 살아갈 적에 입는 옷’입니다. 우리가 너머인 누리(우주)나 다른 별로 가자면, 이 몸도 쇳덩이도 아닌 마음으로 떠날 노릇입니다. 별순이가 꿈을 그려서 스스로 길을 찾는 이야기를 꾸린 그림책은 반갑되, ‘너머·별·마음·몸·누리’를 어질고 깊이 바라보지는 않는구나 싶어 아쉽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