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2.25.


《두 아이와》

 김태완 글·사진, 다행하다, 2022.1.10.



‘카톡 친구관리’를 익히다. 어느 글바치가 찰거머리짓을 하는데, 손전화로 몰아붙이는 물어뜯기(악플)를 끊는 길이 있구나. 나보다 나이가 적으면 ‘눈물 무늬(이모티콘) + 선생님 타령’을 하고, 나보다 나이가 많으면 ‘막말 + 배신자 소리’를 해댄다. 이들은 스스로 티없음(무결점·무결함)이라고 외친다. 이들은 ‘티있음이라면 어떻게 대학교수·평론가·예술가·기자 이름으로 글을 쓰거나 중앙일간지 칼럼을 쓰거나 대형출판사에서 책을 내느냐’고 목청을 높인다. 스스로 살림빛이나 사랑꽃을 바라보지 않기에 ‘다른 높은 이름값’을 내세우려 하더라. 이들로서는 이 나라가 아직도 고리타분한 ‘조선 위계질서 신분사회’라고 여기는 듯하다. 《두 아이와》를 가만히 읽었다. “아이 곁에서 함께살기”를 그리는 사랑을 품는다면, 이 작은책(독립출판물)을 찾아내어 품을 수 있으리라. 읍내를 다녀오면서 시골버스에서 글쓰기를 한다. 저녁에는 별빛을 어림한다. 보송보송 마른 빨래를 개면서 참말로 봄날씨로 바뀌는구나 하고 느낀다. 숲노래 씨한테는 ‘두 아이 + 두 아이’가 늘 곁에 있다. “아이들하고 함께살림”을 그리는 어버이라면 허울스런 글·그림·빛꽃을 처음부터 안 하겠지. 아니, 오직 사랑만 글·그림·빛꽃에 담겠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숲노래 씨는

이 책을 인천 마을책집 <서점 안착>에서 장만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