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9.24.

숨은책 757


《제주방언 연구》

 박용후 글

 동원사

 1960.9.8.



  이웃고장으로 마실을 갈 적에는 늘 그 고장에 헌책집이 있는가부터 살핍니다. 새책집에는 ‘막대기(바코드)’를 받아 ‘나라책숲(국립중앙도서관)’에 들어간 책만 깃듭니다. 이와 달리 헌책집은 ‘막대기 없이 조금만 찍어 이웃하고 가볍게 나눈 책’이 깃들어요. ‘안 파는 책(비매품)’을 만나려면 헌책집에 갈 노릇입니다. “‘안 파는 책’을 뭣하러 찾아다녀?” 하고 묻는 분이 많은데, 일제강점기에 나온 책이건, 달책(잡지)에 딸린 책(별책부록)이나 만화책뿐 아니라, 마을빛을 헤아린 책인 ‘지역문화·역사를 다룬 책’은 거의 ‘안 파는 책’으로 조금만 나왔습니다. 제주 〈책밭서점〉에서 《제주방언 연구》를 만났어요. 책밭지기님은 “이거 비매품으로 100권만 나온 책이야. 가리방이라고 알아? 쇠붓 있잖아? 그거로 하나하나 긁었는데, (제주) 관공서에서 버리더구만.” 제주말·제주살림·제주넋을 살리고 품는 길은 여럿입니다. 하늘나루(공항)를 더 짓거나 부릉길(찻길)을 더 닦기보다는, 마을빛을 온몸으로 사랑하며 여민 작은책 하나를 돌아본다면 아름답겠지요.


“위에서 고찰하여 온바와 같이 ‘탐라(耽羅)’는 ‘탐무라(耽牟羅)’에서 온 것인데 ‘탐무라’는 곧 ‘섬무라’요, ‘무리’와 같은 말로써 ‘모리>모이>뫼’의 과정을 거쳐 오늘의 ‘뫼’로 된 것으므로 ‘섬무라’는 곧 ‘섬뫼(島山)’를 뜻하는 것이었음을 알수 있다.” (472쪽)

.

.

제주 옛이름인 ‘탐라’ 말밑을 차근차근 두루 짚으며

캐낸 이야기를 담은 책을

거의 처음으로 만났다.


‘섬뫼’는 

“섬 + 메(산)”이자

“섬 + 담(성벽)”이라고 한다.


이리하여

‘섬뫼 = 섬메 = 섬담 = 섬나라’라고 한다.

‘탐라 = 섬나라’란 뜻이기도 한 셈이다.


이 값진 책을 버려준

제주 어느 관공서가 고맙다.


그리고 버림받은 책을

고이 손질해서 품어준

제주 책밭서점이 고맙다.

사랑한다.

.

.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