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비둘기
권정생 지음 / 창비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동시비평 2022.7.3.

노래책시렁 241


《산비둘기》

 권정생

 창비

 2020.5.15.



  몸은 흙에 내려놓고 마음은 하늘빛으로 날아간 권정생 님 글을 새삼스레 만날 수 있으면 반갑습니다. 다만 두 가지를 생각해 봅니다. 이미 여러 곳에 실은 글을 굳이 따로 묶거나 섣불리 그림책으로 옮기는 일이 너무 잦은 듯하고, 《산비둘기》 같은 책처럼 겉으로는 옛판을 되살리는 듯하면서 속살은 옛판을 되살리지 않는 책은 더없이 아쉽습니다. 겉그림부터 옛판을 그대로 담았으면 속살도 옛판으로 담아야 어울리지 않을까요? 권정생 님 손글씨라면 어린이도 알아보기 쉽다고 느낍니다. 요즈음은 손글씨로만 묶는 책이 한결 빛날 수 있습니다. 권정생 님이 굳이 둘레에 알리지 않고 조그맣게 여민 글모음은 두 가지로 바라보아야지 싶습니다. 첫째, 스스로 부끄러워 내보이고 싶지 않은 글입니다. 둘째, 스스로 안 내보이고 싶어 묵힌 글을 애써 책으로 꾸민다면 ‘있는 그대로’ 살릴 적에 뜻깊습니다. 《산비둘기》는 끝에 ‘발문·발굴 해설’이란 두 가지 글을 덧붙이는데 무척 딱합니다. 어린이한테 들려줄 노래(동시)에 ‘발문’이란 일본스런 한자말을 내건 글을 꼭 실어야 할까요? 권정생 님 글을 ‘발굴’했다는 말이 알맞을까요? 별빛으로 떠난 어른이 남긴 글은 군더더기 없이 정갈하고 작게 만날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ㅅㄴㄹ


냉이도 / 비 맞고 있다 // 꽃다지도 / 비 맞고 있다 // 봄비 맞으면 / 모두 파래지나 봐 // 오리나무 가지마다 / 눈이 떴다 (봄비/7쪽)


새앙쥐야 / 쬐금만 먹고 / 쬐금만 더 먹고 / 들어가 자거라 // 새앙쥐는 / 살핏살핏 보다가 / 정말 쬐끔만 먹고 / 쬐금만 더 먹고 / 마루 밑으로 들어갔어요 (달님/2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