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과 일자리 -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나이절 캐머런 지음, 고현석 옮김 / 이음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책으로 삶읽기 633


《로봇과 일자리》

 나이절 캐머런

 고현석 옮김

 이음

 2018.3.27.



이 문제와 관련해 나는 개인적인 경험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9쪽)


바로 얼마 전에는 세계은행의 경제학자들로부터 초청장이 날아왔다. 나는 공포를 느끼면서 그들의 ‘소굴’로 갔다. 흥미로웠던 것은, 내가 말을 마쳤을 때 아무도 내게 ‘경제학’에 의하면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말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11쪽)


우리는 대토론의 시작 선상에 서 있다. 어떻게 보면 이 문제는 간단하다. 그것은 로봇이 우리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을 우리가 걱정해야 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것이다. (18쪽)



《로봇과 일자리》(나이절 캐머런/고현석 옮김, 이음, 2018)를 읽었다. 로봇 탓에 일자리를 걱정하는구나 싶으면서도, 로봇이 우리 삶자리에 얼마나 어떻게 깃들었는가부터 따지지 않으면 얘기가 샛길로 빠지기 쉽겠다고 느낀다. 셈틀도 손전화도 로봇 가운데 하나이다. 글붓이나 그림붓조차 로봇이곤 하다. 빨래틀은 어떤가. 요새는 비질을 맡는 로봇이 있고, 먹을거리를 채우는 로봇이 있다. 오늘날에는 ‘로봇을 만들고, 팔고, 다루고, 고치고, 알리는 일자리’가 엄청나게 많다. 씽씽이(자동차)조차 로봇이 될 뿐 아니라, 어디에서나 웬만한 일자리는 ‘로봇하고 얽힌’다. 다시 말하자면, 로봇 탓에 일자리가 사라질 일이란 없는데, 우리 스스로 ‘일’이 무엇인가를 자꾸 잊은 채 서울키우기(도시확장)에 사로잡힌다면, 머잖아 ‘로봇을 만들고 다루고 고치고 알리는 일자리’조차 로봇이 하겠지. 사람이라면 숲살림을 알아야 한다. 숲살림을 모르는 채 서울살림으로만 가면 이런 책이 자꾸자꾸 나오겠네 싶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