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닷컴 2020년 3월호에 실은 글입니다


..


숲에서 짓는 글살림

42. 엄마쉼 아빠쉼


  어른이 어른한테 쓰는 말이 있고, 어른이 아이한테 쓰는 말이 있습니다. 두 말은 다릅니다. 어른 사이에서 흐르는 말을 아이한테 섣불리 쓰지 않아요. 거꾸로 아이가 아이한테 쓰는 말은 어떤가요? 아이가 아이한테 쓰는 말은 어른한테 써도 될까요, 안 될까요?


  어린이하고 어른이 함께 알아듣는 말이 있고, 어른만 알아듣는 말이 있어요. 그러면 어린이만 알아듣는 말이 있을까요? 아마 어린이만 알아듣는 말도 있을 테지만, 어린이가 알아듣는 말이라면 어른도 가만히 생각을 기울일 적에 ‘아하, 그렇구나’ 하고 이내 알아차리곤 합니다.


  이와 달리 어른끼리 알아듣는 말이라면, 어른들이 아무리 쉽게 풀이하거나 밝힌다 하더라도 어린이가 좀처럼 못 알아차리곤 해요. 이를테면 ‘출산휴가’ 같은 말을 생각해 봐요. 어른이 일하는 자리에서는 으레 쓰는 말이지만 어린이한테는 도무지 와닿지 않습니다. 어린이한테 ‘출산’이나 ‘휴가’란 말을 써도 좋을까요?


  동생을 낳는 어머니나 아버지라면 언니나 누나나 오빠가 될 아이한테 “네 동생을 낳으려고 어머니가 일터를 쉰단다.”라든지 “엄마가 너희 동생을 낳거든. 그래서 아빠가 일을 쉬는 틈을 얻었어.”처럼 말하겠지요.


  이 대목에서 뭔가 반짝하고 머리를 스쳐 지나간다면, 어린이부터 어른 누구나 새롭게 쓸 낱말을 얻을 만해요. 먼저 ‘엄마쉼’하고 ‘아빠쉼’입니다.


  1990년대까지 택시에서는 ‘空車’라는 한자를 적어 알림판으로 세우고 다녔습니다. 저도 떠오르는데요, 어머니한테 여쭈었지요. “어머니, 저 택시에 뭐라고 적혔어요?” “저거? ‘공차’라고 하는데.” “공차? 공차가 뭐예요? 공을 차라는 말이에요?” “아니. 호호. 손님이 없는 차라는 뜻이야.” 지난날 저처럼 물어본 어린이가 많지 않았을까요? 이제 택시는 ‘쉬는차’라는 알림판을 씁니다.


  자동차가 빨리 달리는 길에서 쓰는 말도 ‘휴게소’ 못지않게 ‘쉼터’를 널리 써요. 그렇다면 일터나 학교에서 쉬는 짧은 틈을 ‘쉬는틈·쉴틈’이나 ‘쉬는때·쉬는짬’이나 ‘쉴때·쉴짬’처럼 새말을 쓸 만합니다. 생각을 기울이면 얼마든지 어느 자리에서나 한결 쉽게 가다듬을 만해요. 갓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일고여덟 살 어린이한테 어떤 말을 들려주면서, 어린이가 생각을 어떻게 살찌우도록 이끌면 좋을까를 헤아리면 좋겠습니다. 이리하여 ‘엄마쉼·아빠쉼’이나 ‘엄마말미·아빠말미’라든지 ‘아기쉼·아기말미’ 같은 말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라밖 그림책을 한글로 옮기는 분이 누리글월을 띄워서 옮김말을 어린이 입말에 맞게 손질해 줄 수 있느냐고 여쭈었습니다. 기꺼이 손질해서 알려주었습니다.


내 친구 알록달록 빛깨비예요

→ 동무인 알록달록 빛깨비예요

그건 가지가지 느낌이 휘휘 뒤섞였기

→ 아마 가지가지 느낌이 휘휘 뒤섞였기

그리 변했지

→ 그리 됐지


  “내 친구”는 번역 말씨입니다. 한국 말씨는 “우리 친구”처럼 ‘우리’를 넣어요. 또는 ‘우리’조차 안 쓰지요. ‘동무’ 한 마디만 쓰면 됩니다. ‘그건(그것은)’을 앞머리에 넣는 말씨도 번역 말씨입니다. 앞자락하고 잇는 말씨로 ‘아마’나 ‘그리고’를 쓰면 돼요. ‘변하다’ 같은 외마디 한자말은 ‘바뀌다·달라지다’로 손보면 되는데, 이 흐름에서는 ‘되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찬찬히 살필 수 있어

→ 찬찬히 볼 수 있어

이건, 행복이야

→ 자, 기쁨이야

해님처럼 노랑 빛을 퐁퐁

→ 해님처럼 노랑을 퐁퐁


  “찬찬히 살피다”는 겹말입니다. ‘찬찬히’나 ‘살피다’는 ‘잘’ 보려고 하는 몸짓을 나타내요. “찬찬히 볼”이나 “잘 볼”이나 “살펴볼·살필”로 가다듬습니다. 앞머리에 ‘이건(이것은)’을 섣불리 넣을 적에도 ‘그건(그것은)’하고 똑같이 번역 말씨예요. 이 자리는 ‘자’를 넣으면 좋아요. 또는 ‘여기’를 넣을 수 있습니다. ‘행복’ 같은 한자말은 널리 쓴다지만, 어린이부터 읽는 그림책이라면 ‘기쁨’이란 낱말이 어울립니다. “노랑 빛”은 ‘노랑’이나 ‘노란빛’으로 다듬습니다.


누군가와 몽땅 나누고 싶어져

→ 누구하고 몽땅 나누고 싶어

슬퍼지면 눈물이

→ 슬프면 눈물이

손을 꼭 잡아 줄 거야

→ 손을 꼭 잡아 줄게


  ‘누·누구’라는 낱말에 자꾸 군말을 붙여서 쓰는 버릇이 퍼졌습니다. ‘누군가가’처럼 쓰는 분이 꽤 보이는데 겹말입니다. ‘누군가와’는 틀린 말씨까지는 아니지만 군살을 덜고 ‘누구하고’나 ‘누구랑’처럼 손질하면 입으로 말하기에 부드러워요. ‘-지다’를 자꾸 넣어도 번역 말씨예요. ‘슬퍼지면’보다는 ‘슬프면’이라 하면 되어요. “잡아 줄 거야”처럼 ‘것’을 자꾸 넣는 버릇도 군더더기이면서 일본 말씨예요. “잡아 줄게”나 “잡을게”처럼 짧게 끊습니다.


한밤중처럼 캄캄하고

→ 한밤처럼 캄캄하고

겁쟁이 고양이처럼 숨어 있지

→ 두렴쟁이 고양이처럼 숨지

달랑 혼자인 기분이라고 느껴

→ 달랑 하나라고 느껴 / 혼자라고 느껴

지금 네 기분은 어떠니

→ 오늘 네 마음은 어떠니


  ‘한밤’이라 할 노릇이고 ‘한밤중’은 겹말입니다. ‘겁쟁이’라면 ‘두렴쟁이’로 손볼 만하고, “-고 있다” 같은 번역 말씨·일본 말씨는 ‘있다’를 덜어서 “숨어 있지”는 “숨지”로 다듬습니다. ‘기분’이란 한자말은 ‘느끼다’를 나타내기에 “기분이라고 느껴”는 겹말이에요. 한자말 ‘기분’은 자리를 살펴 ‘느낌’이나 ‘마음’으로 알맞게 손볼 만합니다.


  우리가 쓰는 말이 참으로 말다우려면 흙을 만지며 일하는 사람 눈길로 말해야 한다고도 하지요. 그런데 요즈막 흙일꾼은 농협에서 쓰는 일본 한자말에 물든 말씨가 매우 깊이 퍼졌어요. 흙내음 나는 말씨를 쓰는 손길이 되면서, 어린이 눈높이를 헤아리는 눈빛으로 가다듬는 말씨라면 한결 고우면서 즐겁고 알맞으리라 생각합니다.


  숲을 그리는 말씨로 추스르는 셈입니다. 숲에서 노는 어린이 마음으로 가다듬는 셈입니다. 숲을 사랑하여 폭 안기는 어린이 눈빛이자 사랑으로 돌보는 셈입니다. 어린이 마음이 되어야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하듯, 오늘 우리 어른들이 쓰는 말씨도 어린이하고 어깨동무하는 말씨가 될 적에 넉넉하고 알차고 슬기롭고 빛나고 즐거우면서 새로우리라 생각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한국말사전을 쓰고 “사전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