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19.12.1.


《논 벼 쌀》

 김현인 글, 전라도닷컴, 2019.10.31.



11월 끝자락에 광주 마을책집 ‘심가네박씨’에서 조촐히 책모임이 있었다고 한다. 그 자리에서는 《논 벼 쌀》이라는 책을 기리면서, 이 땅에서 논이라고 하는 터, 논에 심어서 거두는 벼, 벼로 얻는 쌀밥이 얽힌 이야기가 흘렀다고 한다. 광주를 다녀가는 길에 마을책집에 들러 《논 벼 쌀》을 장만했고, 바로 저녁에 가만히 읽어 보았다. 책이름처럼 논이며 벼이며 쌀하고 얽힌 살림을 다룬다고 할 텐데, 논·벼·쌀보다 다른 이야기가 조금 더 많다. 그리고 다른 이야기가 좀 어렵다. 글쓴님이 흙지기이기 앞서 서울대를 나온 탓일까. 요즈음 거의 듣기 어려운 한문 말씨가 책에 빼곡하다. 굳이 이런 한문결로 글을 써야 했는지 모르겠다. 먼먼 옛날부터 흙지기 살림이란 임금이나 벼슬아치 살림이 아니지 않은가? 1500년대나 500년대나 더 먼 지난날 흙지기가 한문결로 말을 했을까? 아닐 테지. 논말을, 벼말을, 쌀말을, 무엇보다 하늘말이며 바람말이며 비말이며 흙말로 이야기를 풀어낸다면 좋겠다. 무당벌레가 알아듣고 거미하고 제비랑 속삭이는 말씨로 이야기를 들려준다면 좋겠다. 이웃집이랑 잔치를 하고, 동무집이랑 어깨춤을 짓는 숲말로 구름말로 꽃말로 이야기를 섞을 수 있으면 좋겠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