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19.11.18.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순천 할머니 스무 사람 글·그림, 남해의봄날, 2019.2.1.



두 아이하고 곁님이 입을 새 겨울옷을 장만할 돈을 형이 보내 주었다. 얼마나 곱고 고마운 손빛인가 하고 헤아린다. 내가 형이나 둘레에 나눌 수 있는 손빛은 무엇일까 하고 조용히 그려 본다. 오늘도 언제나처럼 새 사전을 엮는 일을 마무르려고 한창 애쓰다가 큰아이하고 저자마실을 다녀온다. 집에서 보글보글 국을 끓이는데 큰아이가 문득 “다시마에서 나오는 거품은 바다에 있던 공기야.” 하고 말한다. 그래, 다시마랑 얘기하면 그런 대목을 알아챌 수 있구나.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를 여덟 달쯤 책시렁에 두었지 싶다. 모처럼 느긋하게 읽다가 아주 아쉬운 대목을 느낀다. 이 대목 때문에 여덟 달을 그냥 책시렁에 모셨다고 깨닫는다.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스무 할머니는 시골내기이다. 시골에서 나고 자랐으며 오늘도 시골에서 산다. 그런데 모두 서울 말씨로 글을 썼다. 왜? 왜 순천말이나 전남말이 없지? 왜 모든 글을 ‘-다’로 끝맺도록 썼지? 할머니라기보다 ‘할매’나 ‘할마시’나 ‘할망’이 〈전라도닷컴〉이란 잡지 일꾼하고 만나는 자리에서는 ‘-담시·땀시·-땜시·-땜시롱’처럼 고장·고을·마을마다 다른 말씨가 눈부시다. 순천말도 전남말도 시골말도 없는 할머니 글은 팥소가 사라진 맨빵이다. 씁쓸.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