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로쓰기 1

누가 나한테 “‘우리말 바로쓰기’를 하면서 글을 써야 합니까?” 하고 묻는다면 곧바로 대꾸한다. “왜 그렇게 글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하고. 이렇게 되물으면 으레 “이녁은 늘 ‘우리말 바로쓰기’로 글을 쓰지 않나요?” 하고 다시 물을 텐데, 나는 또다시 “참말로 제가 쓰는 글이 ‘우리말 바로쓰기’라고 여기시나요?” 하고 되물으면 더 묻지 못하곤 한다. 나는 말장난을 하지 않는다. 내가 하는 글쓰기를 고스란히 드러낼 뿐이다. 내 글쓰기는 ‘우리말 바로쓰기’가 아니다. 나는 늘 새롭게 배워서 이 삶으로 익힌 말을 골라서 쓸 수 있을 뿐이다. 열아홉 살에서 스무 살 사이에는 ‘우리말 바로쓰기’를 헤아려 본 적이 있으나 매우 어려웠다. 무엇보다도 벅찼다. 그때 곰곰이 생각했다. 아니, 한국사람으로서 한국말을 바르게 배워서 쓰겠다고 하는 일이 왜 이렇게 힘든가 하고. 이렇게 생각하며 길을 찾다 보니 실마리하고 수수께끼를 한 꺼풀씩 벗길 수 있었다. 첫째, 나는 국민학교에 든 여덟 살부터 학교에서 말다운 말을 배우거나 들은 적이 없다. 둘째, 나는 국민학교에 든 때부터 교과서로는 글다운 글을 배우거나 읽은 적이 없다. 셋째, 나는 국민학교에 들어가 한글을 익혀서 스스로 책을 읽은 뒤로, 책에서 말다운 말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넷째, 나는 어릴 적에 방송을 보면서 말다운 말을 거의 들을 수 없었다. 다섯째, 나는 군대하고 사회를 맴도는 동안 이웃들이 말다운 말로 슬기롭게 생각을 밝혀 살림을 짓는 길을 좀처럼 마주할 수 없었다. 언제 어디에서나 말다운 말이나 글다운 글을 마주하기 어려우니, 내가 쓰는 글이 말답거나 글다울 수 없는 노릇이었다. 모든 말하고 글을 처음부터 배워야 했고, ㄱ부터 ㅎ까지 새롭게 익혀야 했다. 이제 마무리말을 해본다. “저는 제가 나아가려는 삶·살림·사랑에 걸맞게 배우는 대로 말을 하거나 글을 씁니다. 저는 삶하고 살림하고 사랑을 즐거우면서 곱고 재미나게 짓고 싶은 마음으로 말하고 글을 늘 새롭게 익혀서 제 노래가 되도록 펴려는 몸짓으로 글쓰기를 합니다.” 2017.12.29. ㅅㄴㄹ


우리말 바로쓰기 2

말을 바르게 쓴다고 할 적에는 삶을 바르게 짓는다는 뜻. 지식이나 정보로 말만 바르게 꾸미지 못한다. 언제나 즐거우면서 곱게 삶을 짓는 길이라면, 말은 저절로 빛난다. 저절로 빛나는 말을 뭣하러 바르게 쓴다면서 가다듬을까? 따로 “우리말 바로쓰기”를 안 해도 된다. 아니, 할 일이 없다. 스스로 삶을 새롭게 짓고, 곱게 가꾸며, 넉넉하게 지피면 넉넉하다. 삶이 곱게 서면 말이 곱게 선다. 삶이 노래라면 말이 노래가 된다. 삶이 사랑이라면 말이 얼마나 아름다운데 무슨 바로쓰기고 자시고이고 해야 하겠는가. 2019.2.26.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삶과 글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