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백지 白紙


 백지에 낙서를 하다 → 흰종이에 끄적이다

 백지 답안지 → 하얀 길눈종이 / 텅 빈 종이

 음악은 백지다 → 노래는 하나도 모른다 / 노래는 깜깜하다 / 노래는 어둡다

 백지로 돌아가서 → 처음으로 돌아가서

 백지로 돌리고 싶다 → 처음으로 돌리고 싶다


  ‘백지(白紙)’는 “1. 닥나무 껍질로 만든 흰빛의 우리나라 종이. ‘흰 종이’로 순화 2. 아무것도 적지 않은 비어 있는 종이. ‘빈 종이’로 순화 3. = 백지상태 4. 어떤 대상이나 일에 대하여 이미 있었던 사실을 없는 것으로 하거나 무효화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백지상태(白紙狀態)’는 따로 사전에 올림말로 나오는데, “1. 종이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상태 2. 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 3. 어떠한 일을 하기 이전의 상태 4. 잡념이나 선입관 따위가 없는 상태 ≒ 백지(白紙)”를 가리킨다고 해요. 곰곰이 따진다면 ‘흰종이·빈종이’나 ‘종이·종이쪽’이라 하면 됩니다. 그러나 아직 우리 낱말책에 ‘흰종이·빈종이’가 올림말로 없어요. 얄궂습니다. 때로는 ‘처음’으로 손보면 되고, ‘깜깜하다·어둡다·캄캄하다’나 ‘거품·물거품’으로 손볼 만합니다. ‘맨끝·맨뒤·맨밑’이나 ‘밑바닥·밑자리·바닥·바닥나다’로 손보고, ‘비다·비우다·없다·없애다’로 손봐요. ‘모르다·낯설다·설다’나 ‘하얗다·파리하다·해쓱하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백지’가 네 가지 더 나오는데 모두 털어냅니다. ㅅㄴㄹ



백지(白子) : 바둑돌의 흰 알 ≒ 백(白)

백지(白地) : 1. 농사가 안되어 거두어들일 것이 없는 땅 2. 정해진 근거가 없는 상태

백지(白地) : 아무 턱도 없이

백지(白芷) : [한의학] 구릿대의 뿌리 ≒ 구릿대뿌리·단귀·지(芷)



하얀 백지에다 수없이 직선을 긋는다

→ 하얀종이에다 숱하게 금을 긋는다

→ 빈종이에다 반듯하게 자꾸 긋는다

《이슬처럼》(황선하, 이슬처럼, 창작과비평사, 1988) 73쪽


그것이 백지에 번지며 피어오르는 형상의 기운생동(氣韻生動)

→ 이는 흰종이에 번지며 피어오르는 힘찬 모습

→ 이는 흰종이에 번지며 피어오르는 눈부신 모습

《사람을 그리다》(최정호, 시그마북스, 2009) 591쪽


어설프게 캐서린으로서의 예비지식을 갖고 있는 것보다는, 백지 상태가 차라리 나은 것 아닐까

→ 어설프게 캐서린으로서 미리 알기보다는, 아무것도 없기가 차라리 낫지 않을까

→ 어설프게 캐서린으로서 미리 꾸미기보다는, 아무것도 몰라야 차라리 낫지 않을까

《유리가면 7》(미우치 스즈에/해외단행본팀 옮김, 대원씨아이, 2010) 105쪽


머릿속이 텅 빈 백지 상태라면

→ 머릿속에 텅 비었다면

→ 머릿속에 하얀 종이 같다면

→ 머릿속에 하얗다면

《인도, 사진으로 말하다》(현경미, 도래, 2014) 17쪽


백지 위에 손 그림자 계속해서 춤을 추고 있었다

→ 흰종이에 손 그림자 자꾸 춤을 추었다

→ 하얀 종이에 손 그림자 자꾸 춤을 추었다

《시》(조인선, 삼인, 2016) 78쪽


의도적으로 내 모국어인 한국어를 백지 상태에서부터 쌓아올렸다

→ 일부러 내 겨레말인 우리말을 하얗게 해 둔 채 쌓아올렸다

→ 부러 내 겨레말인 한말을 텅 비워 놓고서 쌓아올렸다

→ 내가 어릴 적부터 쓰던 한말을 일부러 밑바닥부터 쌓아올렸다

《0 이하의 날들》(김사과, 창비, 2016) 148쪽


예의 일이 백지로 돌아갔어요

→ 그때 일이 물거품이에요

→ 그때 일이 없어졌어요

→ 그때 일이 사라졌어요

《러브 인 하우스 1》(타카스카 유에/윤현 옮김, 학산문화사, 2018) 165쪽


아무것도 없는 백지 위에서

→ 아무것도 없는 종이로

→ 빈종이를 펴고

→ 흰종이를 놓고

《변명과 취향》(김영건, 최측의농간, 2019) 92쪽


커리큘럼을 백지 상태에서부터 새롭게 짜야 한다는 점이었고

→ 배움틀을 새롭게 짜야 하고

→ 배움그림을 처음부터 짜야 하고

→ 배움길을 새로 짜야 하고

《중급 한국어》(문지혁, 민음사, 2023) 50쪽


백지와 마주할 때 나는 역광을, 광배(光背)를 얻는다

→ 나는 흰종이와 마주할 때 뒷빛을 얻는다

→ 나는 빈종이와 마주할 때 빛살을 얻는다

《편지의 시대》(장이지, 창비, 2023) 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 사람들끼리 서로 생각, 느낌 따위의 정보를 주고받는 일. 말이나 글, 그 밖의 소리, 표정, 몸짓 따위로 이루어진다. ‘의사소통’, ‘의사 전달’로 순화

communication : 1. 의사소통, 연락 2. 통신[소통] (수단들) 3. (편지·전화 등의) 연락, 전언

コミュニケ-ション(communication) : 커뮤니케이션, 통신, 보도, 전달



우리 낱말첵이나 영어 낱말책 모두 ‘의사소통’으로 풀이하는 ‘커뮤니케이션’인데, 뜻이 서로 맞거나 흐른다고 할 적에는 ‘이야기·얘기’라 하면 됩니다. “생각을 나누다”나 “생각을 주고받다”나 “말을 섞다”라 해도 어울립니다. ‘나누다·주고받다·섞다’나 ‘잇다·이어가다·이음길·이음목’이라 할 만하고, ‘어울리다·사귀다·마주하다·만나다’라 할 수 있습니다. ㅅㄴㄹ



말에 의존하지 않는 방식으로 도시야와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밖에 없었는데

→ 말에 기대지 않고 도시야와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었는데

→ 말을 쓰지 않으며 도시야와 생각을 나눌 수밖에 없었는데

《나는 아들에게서 세상을 배웠다》(기류 유미코/송태욱 옮김, 샨티, 2005) 170쪽


가끔은 남자 대 남자의 커뮤니케이션도 필요해

→ 가끔은 돌이와 돌이로서 이야기도 해야 해

→ 가끔은 같은 사내로서 생각도 나눠야 해

《천재 유교수의 생활 31》(야마시타 카즈미/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12) 9쪽


언어적 능욕 대상으로 삼아 구성원 전체가 공유하는 의례적 커뮤니케이션이 음담패설이다

→ 모임을 이룬 이들은 그럴듯하게 꾸민 얘기로 더럼타령을 펴며 깎아내린다

→ 무리를 지은 이들은 겉발린 이야기로 엉큼타령을 펴면서 더럽힌다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우에노 치즈코/나일등 옮김, 은행나무, 2012) 40쪽


손님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생겨나기 쉽다

→ 손님과 말을 섞기가 쉽다

→ 손님과 얘기를 하기가 쉽다

→ 손님과 생각을 주고받기가 쉽다

《황야의 헌책방》(모리오카 요시유키/송태욱 옮김, 한뼘책방, 2018) 204쪽


무슨 책으로 꾸밀지 지휘하고 손님과 어떤 커뮤니케이션을 취할지 조율하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이끌고 손님과 어떻게 만날지 가다듬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다스리고 손님과 어떻게 어울릴지 살피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거느리고 손님과 어떻게 얘기할지 맞추는 일도

《하나의 거대한 서점, 진보초》(박순주, 정은문고, 2024) 33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 산하인물이야기
이원수 글, 허구 그림 / 산하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책넋 2024.4.27.

읽었습니다 318



  예부터 어른은 아이한테 이야기로 삶을 들려주고, 살림을 일깨우고, 사랑을 속삭였습니다. 어른이 아이한테 들려주는 이야기에는 ‘훌륭님’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스스로 하루를 짓는 어진 사람이 나오고, 스스로 사랑을 꽃피우는 어른이 나오며, 스스로 삶을 노래하고 살림을 일구는 숨결이 나올 뿐입니다.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를 곰곰이 읽었습니다. 언뜻 보면 ‘위인전’이되, 가만히 보면 ‘작은이’ 이야기입니다. 대단하거나 놀라운 일을 한 분이라기보다는, 우리 곁에서 누구나 이처럼 ‘사랑’을 나라에도 쏟거나 마을에도 기울이거나 보금자리에도 펼 수 있다는 길을 보여준다고 느껴요. 집안에서 아늑하면서 아름다울 적에 마을에서도 알차고 빛납니다. 나라사랑만 할 수 없어요. ‘나사랑’에서 ‘너사랑’으로 잇고, ‘우리사랑’을 바라볼 줄 알기에, ‘누리사랑’으로 피어납니다. 누구나 사랑으로 일어나는 사랑누리를 그립니다.


ㅅㄴㄹ


《이원수 선생님이 들려 주는 김구》(이원수, 산하, 2002.8.23.)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 위에서

→ 길마를 머리에 이고 지붕에서

9쪽


상놈만도 못한 행실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막놈만도 못한 짓을 하는 어른이라고

→ 만무방보다 못한 어른이라고

39


해주에서 과거를 보인다는 방(공고문)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물음풀이를 보인다는 글이 나붙었습니다

→ 해주에서 글겨룸을 보인다는 알림이 나붙었습니다

48


글씨를 쓴 종이 위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 글씨를 쓴 종이에 또 글씨를 썼습니다

50쪽


객사(여관)에 들 형편이 못 되는

→ 길손채에 들 살림이 못 되는

51


창수의 뒤에는 우리 2천만 동포가 있습니다

→ 창수 뒤에는 우리 한겨레가 있습니다

81


아드님의 호령이 얼마나 당당하던지

→ 아드님 목소리가 얼마나 당차던지

→ 아드님이 얼마나 힘차게 외치던지

8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편지의 시대 창비시선 495
장이지 지음 / 창비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4.4.27.

노래책시렁 419


《편지의 시대》

 장이지

 창비

 2023.12.22.



  손으로 밥을 지어서, 손으로 수저를 쥐고서 먹습니다. 손으로 씨앗을 심고서, 손으로 호미나 낫을 쥐고서 거두거나 캡니다. 손으로 아이를 씻기고 돌보노라면, 어느새 아이는 무럭무럭 자라서 손을 맞잡고서 거닐다가, 어느새 손을 가볍게 흔들면서 저만치 앞서 달려갑니다.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손수 짓는 살림을 말로 담았습니다. 말을 담는 그림은 글이 태어난 뒤에도 아주 오래도록 손으로 글을 적었습니다. 이제는 손으로 글을 쓰거나 적는 일이 확 줄었는데, 어떻게 옮기는 글이어도 ‘마음을 담은 글’일 적에라야 비로소 마음이 만나거나 흐릅니다. 《편지의 시대》는 글월과 나래꽃 사이에서 오간 마음을 적는 듯싶습니다만, 어쩐지 “편지의 시대”라는 이름부터 일본스럽습니다. 우리나라 웬만한 자리마다 일본말에 일본빛이니 어쩔 길이 없다고 할 테지만, 조금씩 마음을 기울이면 하나씩 씻거나 털면서, 우리 이야기를 도란도란 펼 만합니다. 글월을 주고받는 ‘글월철’입니다. ‘글날’입니다. ‘글빛나날’에 ‘글길’이에요. 글을 글로 여기는 눈길일 적에 마음을 마음으로 나누는 마음길을 열어요. 억지스레 짜거나 맞추는 글로는 어떤 마음도 못 움직여요. 더 멋지거나 드문 나래꽃을 얻으려는 마음으로는, 그저 시늉이었겠지요.


ㅅㄴㄹ


누가 먼저였는지 잊었지만 편지와 함께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발품깨나 팔았지요 우리의 편지는 차츰 우표를 교환하기 위한 것이 되더니 어떤 일로 영영 끊어지게 되었어요 (우표수집―삼총사/65쪽)


너는 그것을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건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너에게 주려던 편지를 흐르는 강물에 버린 것을 네가 알까 (졸업/75쪽)


+


《편지의 시대》(장이지, 창비, 2023)


사랑의 취기가, 도취의 파도가 소인으로 찍히는 것을 상상하면서

→ 거나한 사랑이, 반한 물결이 쿵 찍히는 모습을 떠올리면서

→ 비칠대는 사랑이, 기쁜 물결이 톡 찍히는 무늬를 그리면서

8쪽


은하의 실타래 위에 이미 있었네

→ 별밭 실타래에 이미 있네

→ 별숲 실타래에 이미 있네

→ 별떼 실타래에 이미 있네

12쪽


천변만화의 구름이 뿔뿔이 흩어졌다가

→ 덩굴진 구름이 흩어졌다가

→ 물결치는 구름이 뿔뿔이 가다가

12쪽


대관람차의 형해(形骸)가 방치돼 있다

→ 큰바퀴 뼈대를 내버린다

→ 큰고리가 덩그러니 나뒹군다

→ 고리눈 부스러기가 구른다

18쪽


칠이 벗겨진 말들이 막사 안에서 선잠을 잔다

→ 겉이 벗겨진 말이 오두막에서 선잠이다

→ 옷이 벗겨진 말이 움막에서 선잠이다

18쪽


나뭇잎 사이로 흘러내리는 햇빛의 무늬를, 초록색의 점자를 갑충이 더듬더듬 읽는다

→ 나뭇잎 사이로 흘러내리는 햇빛무늬를, 푸른글씨를 딱정벌레가 더듬더듬 읽는다

23쪽


너머에서 도시가 비의 부식(腐蝕)을 견딘다

→ 너머에서 마을이 비에 삭지 않으려 한다

→ 너머에서 서울이 비에 슬지 않으려 한다

25쪽


백지와 마주할 때 나는 역광을, 광배(光背)를 얻는다

→ 나는 흰종이와 마주할 때 뒷빛을 얻는다

→ 나는 빈종이와 마주할 때 빛살을 얻는다

25쪽


외국의 멋진 우표도 동봉하게 되었는데 진귀한 우표를 찾으려고

→ 이웃나라 멋진 나래꽃도 넣었는데 값진 나래꽃을 찾으려고

→ 옆나라 멋진 날개꽃도 담았는데 드문 날개꽃을 찾으려고

65쪽


너는 그것을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건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 너는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한 말은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 너는 몰라 너를 보지 않겠다고 했는데 보고 싶지 않아서가 아니야

7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의 거대한 서점, 진보초
박순주 지음 / 정은문고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듬읽기 / 숲노래 글손질 2024.4.27.

다듬읽기 207


《하나의 거대한 서점, 진보초》

 박순주

 정은문고

 2024.3.25.



  《하나의 거대한 서점, 진보초》(박순주, 정은문고, 2024)는 첫머리부터 숨막혔습니다. 일본 간다 진보초 책집거리에 무슨 ‘쾨쾨’한 냄새가 나는지 아리송합니다. 책집거리여도 책을 안 쳐다보고 지나다니는 사람이 엄청 많습니다. 책집 둘레가 그냥 ‘살림마을’이거든요. 마을집에 마을가게가 나란히 있고, 어린배움터에 쉼터도 함께 있습니다. 책집거리 앞은 바로 큰길입니다. 쾨쾨하거나 눅진 바람은커녕, 봄에는 벚꽃냄새와 여느 철에도 나무내음이 퍼지는 곳에 책집거리가 있을 뿐입니다. 책집지기를 만나서 얘기를 듣는 얼거리가 안 나쁘지만, 이보다는 다 다른 책집에 하나하나 모두 들러서 ‘우리 스스로 책집마다 어떤 책을 만나서 읽고 누리고 나눌 만한가’를 들려줄 일이라고 봅니다. 만화책만 다루거나, 바둑책만 다루거나, 이탈리아책만 다루거나, 사진책만 다루거나, AV만 다루거나, 온갖 책을 다루는 숱한 책집이 마을을 이룬 진보초입니다. 겉훑기로는 책빛을 못 읽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진보초 고서점 거리를 왔을 때가 기억난다. 오래된 습한 공기에 섞인 쾨쾨한 종이 냄새와 찌든 담배 냄새, 아직도 생생하다

→ 진보초 헌책집거리를 왔을 때가 떠오른다. 오래된 눅진 바람에 섞인 쾨쾨한 종이 냄새와 찌든 담배 냄새, 아직도 생생하다

11쪽


당신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오래된 곳임을 후각에서부터 상기시키는 그 특별한 냄새 말이다

→ 그대 생각보다 훨씬 더 오래된 곳이라고 코로 느끼라는 유난한 냄새 말이다

→ 우리 어림보다 훨씬 더 오래된 곳이라고 냄새로 알려준다

11쪽


생기를 되찾으며 하루하루 변화하고 있다

→ 기운을 되찾으며 하루하루 거듭난다

→ 다시 반짝이며 하루하루 나아간다

12쪽


그 꿈을 실현시켜 주는 곳이다

→ 이 꿈을 이루는 곳이다

→ 꿈을 펴는 곳이다

21쪽


노란 눈의 고양이가 이쪽을 쳐다보고 있는 게 아닌가

→ 노란눈 고양이가 이쪽을 쳐다본다

→ 눈이 노란 고양이가 이쪽을 본다

51쪽


누가 과연 상상이나 했을까

→ 누가 생각이나 했을까

→ 누가 꿈꾸었을까

71쪽


도쿄로 올라와

→ 도쿄로 와

→ 도쿄로 가

91쪽


큰 축제가 두 개 열린다

→ 큰잔치를 둘 연다

→ 큰마당을 둘 편다

317쪽


이벤트를 기획하고 새로운 무언가를 재창조하는 공간이 부부가 꿈꾸는 서점이다

→ 두 사람이 모임을 꾀하고 새롭게 이야기를 짓는 꿈을 펴는 책집이다

→ 둘이서 새롭게 일을 꾸리고 이야기를 짓는 꿈을 나누는 책터이다

333쪽


무슨 책으로 꾸밀지 지휘하고 손님과 어떤 커뮤니케이션을 취할지 조율하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이끌고 손님과 어떻게 만날지 가다듬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다스리고 손님과 어떻게 어울릴지 살피는 일도

→ 무슨 책으로 꾸밀지 거느리고 손님과 어떻게 얘기할지 맞추는 일도

334쪽


레트로한 분위기에 반해 젊은이들을 비롯해 남녀노소가 찾아온다

→ 예스런 결에 반해 젊은이를 비롯해 누구나 찾아온다

→ 옛멋에 반해 젊은이를 비롯해 두루 찾아온다

→ 오래빛에 반해 젊은이를 비롯해 고루 찾아온다

337쪽


책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그야말로 꿈의 마을이지

→ 책을 좋아하는 사람한테는 그야말로 꿈마을이지

35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