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고를 저해하는 것들

 

롱기누스Longinus의 『숭고에 관하여 Peri hypsous』 중에서




롱기누스는 숭고한 구절을 해치는 나약하고 흥분된 리듬으로 퓌르리키오스pyrrhichio와 트로카이오스trochaios 그리고 디코레이오스dichoreios를 꼽으면서 이것들이 순수한 무도 리듬으로 변질되고 만다고 말한다. 그는 지나치게 리듬화된 것은 무엇이든 가장 미세한 감정적 효과도 없이 단조로이 반복됨으로써 금세 부자연스럽고 싸구려 같은 느낌을 준다고 말한다. 가장 나쁜 점으로 노래가 청중의 주의를 드라마의 줄거리로부터 억지로 자기에게로 끌듯이 지나치게 리듬화된 산문도 청중에게 말의 효과가 아니라 리듬의 효과만을 전달하는 것을 꼽았다. 난도질해놓은 문체와 마찬가지로 너무 촘촘하거나 작은 단편들과 짧은 음절들로 잘라놓은 구절들도 장대하다는 느낌을 주지 않는다. 그런 구절들은 군데군데 나무못으로 거칠고 울퉁불퉁하게 이어 붙여놓은 듯한 인상을 주게 마련이라고 롱기누스는 말한다.

지나치게 간결한 표현도 숭고를 저해하는데, 숭고는 너무 좁은 공간에 갇히게 되면 손상되기 때문이다. 이는 적절한 압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온전한 것을 작은 조각들로 절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장황한 표현은 때 아니게 늘이는 까닭에 생기가 없다.

진부한 표현도 장대함을 망친다며 롱기누스는 예를 들어 헤로도토스에서 폭풍이 그 사상에 관한 한 놀랍도록 훌륭하게 묘사되고 있으나 주제의 품위에 어울리지 않는 몇 가지 표현들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한다. 헤로도토스가 “바다가 끓어오르기 시작했다”는 표현을 인용하면서 “끓어오르다”는 말은 그 발음이 귀에 거슬려서 숭고를 크게 저해한다고 말한다. 헤로도토스는 “바람이 축 늘어졌다”고 했는데, “축 늘어지다”는 일상어이고 품위가 없으며, 그가 말한 “난파선에 매달려 있던 자들은 불쾌한 최후를 기다리고 있었다”고 했는데, “불쾌한”이란 표현은 그토록 큰 재난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한다.

롱기누스는 말이 때 아니게 도입되면 낙인을 찍는 것처럼 문체를 망쳐놓는다고 말한다. 그는 인간을 창조한 자연을 모방하되 주제의 품위에 맞는 말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연이 우리의 음부와 몸의 배설기관들을 얼굴에 두지 않고 가능한 한 숨겼으며, 크세노폰의 말처럼 이 기관들의 통로들을 되도록 먼 곳에 둔 것은 피조물 전체의 아름다움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라고 그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