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는 필수적으로 대담한 심상들을 요구한다


롱기누스Longinus의 『숭고에 관하여 Peri hypsous』 중에서

롱기누스는 은유의 사용을 위한 적절한 기회는 감정이 급류처럼 분출하여 수많은 은유들을 저항할 수 없이 휩쓸어갈 때라고 말한다. 그는 이런 예를 데모스테네스의 <연설>18, 296절로 인용한다.




비열한 아첨꾼들, 저마다 제 조국의 손발을 절단한 자들,

자유를 내주며 처음에는 필립포스를 위하여 지금은 알렉산드로스를 위하여 건배한 자들,

배腹와 가장 저열한 욕망의 잣대로 행복을 재는 자들,

이전의 헬라스인들에게는 선의 규범이자 표준이었던 전제專制로부터의 자유와 해방을 엎은 자들.




필립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이고, 알렉산드로스(기원전 356-323년)는 필립포스 2세의 아들이다. 이 구절에는 수많은 은유가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배신자들에 대한 연설가의 분노가 가려주고 있다. 변명은 표현의 대담성을 완화해준다. 롱기누스는 강력하고 시의에 맞는 감정과 진정한 숭고야말로 중첩된 혹은 대담한 은유에 대한 특효약이라고 말한다. 그것들은 급한 물살로 모든 것을 휩쓸어가거나 앞으로 내모는 성질이 있다고 말한다. 그것들은 필수적으로 대담한 심상들을 요구한다. 그것들은 청중에게 은유의 수를 세어볼 여유를 주지 않는데, 청중도 연설가의 열광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투적 문구나 기술에 있어서 잇단 은유만큼 표현력이 풍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롱기누스는 바로 이런 수단에 의해 인체의 해부가 크세노폰에 의해 탁월하게 그리고 플라톤에 의해 그야말로 신적으로 기술된다고 말한다. 플라톤에 의하면 머리는 신체의 성채이고, 목은 머리와 가슴 사이에 만들어진 이스트모스isthmos(목, 지협地峽이란 듯으로 지명으로는 특히 코린토스Korinthos 지협을 말한다)이며, 척추는 선회축처럼 아래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쾌락은 인간에게 악의 미기이며, 혀는 맛의 시금석이다. 그리고 심장은 혈관의 매듭이자 힘차게 도는 피의 원천으로 위병소 안에 자리 잡고 있다. 플라톤은 신체의 통로들을 골목길이라고 부른다.

롱기누스는 비유적 표현이 그 본성상 장대하고, 은유는 숭고에 기여하며, 감정과 묘사가 내포되어 있는 구절들이 그것들을 가장 반긴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은유의 사용은 문학에 있어서의 온갖 다른 아름다움과 마찬가지로 언제나 과도해지기 쉽다. 그는 플라톤조차도 가끔 일종의 문학적 광기에 의해 거칠고, 절도 없는 은유와 과장된 알레고리 속으로 휩쓸려 들어갔다고 말한다. 그는 그런 예를 플라톤의 『법률』에서 인용했다.




왜냐하면 도시가 포도주 희석용 동이처럼 섞여야 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 안에 미친 듯한 포도주를 부으면 그것이 끓어오르지만 그것이 맑은 정신의 다른 신에게 제압되어 그와 사이좋게 어우러지면 탁월하고 순한 음료가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비평가들은 물을 “맑은 정신의 신”이라 하고 섞는 것을 “제압한다”고 하는 것은 맑은 정신과는 거리가 먼 시인의 말이라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