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도 접속사와 다른 군더더기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롱기누스Longinus의 『숭고에 관하여 Peri hypsous』 중에서

롱기누스는 달리는 사람이 몸이 묶이면 속력을 빼앗기듯이 감정도 접속사와 다른 군더더기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럴 경우 운동의 자유를 잃게 되어 나는 무기(화상, 투창, 돌 등)가 발사된 듯한 느낌을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치법轉置法은 말과 사상을 자연스런 순서와 다르게 배열하는 것으로 절박한 감정의 가장 참된 특징이다. 가장 뛰어난 작가들은 전치법에 의해 자연을 모방함으로써 자연스런 효과를 얻는다. 예술은 자연처럼 보일 때만 완전하고, 자연은 은연중에 예술을 내포하고 있을 때만 성공한다. 롱기누스는 헤로도토스에서 포카이아Phokaia 사람 디오뉘시오스Dionysios가 한 말을 예로 든다.




우리의 운명은 면도날 위에 서 있소.

이오니아인들이여, 우리가 자유인이 되느냐 아니면 노예, 그것도 도망친 노예가 되느냐 하는 것은.

따라서 여러분이 고생을 참고 견디겠다면 지금 당장은 여러분에게 노고가 닥칠 것이나 여러분은 적군을 이길 수 있소.




롱기누스는 여기서 자연스런 순서는 “이오니아인들이여, 지금은 노고를 참고 견뎌야 할 때요. 우리의 운명이 면도날 위에 서 있기 때문이오”가 될 것이라면서 “이오니아인들이여”를 전치하고는 청중에게 먼저 말을 건넬 수도 없을 만큼 위험이 절박한 양 두려움의 원인부터 말한다고 한다. 그는 디오뉘시오스가 생각의 순서도 바꾸어놓았다면서 격려의 핵심이 되는 그들이 노고를 참고 견뎌야 한다는 것을 말하기 전에 그들이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그 이유부터 진술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우리의 운명은”이라고 말한 뒤 “면도날 위에 서 있소”라고 말하여 그의 말이 미리 생각해두었던 것이 아니라 상황에 의해 강요된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고 말한다.

데모스테네스는 전치법을 사용하여 그 본성에 있어 불가분의 통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들을 떼어놓는 데 한층 더 노련한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역사가 투퀴디데스(기원전 465년경-400년경)처럼 그렇게 대담하지는 않지만 전치법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절박한 느낌과 즉흥적인 인상을 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긴 전치법의 모험 속으로 청중을 끌어들인다. 데모스테네스는 종종 자신이 말하기 시작한 생각을 결말짓지 않은 채 중간에서 이질적인 생각을 생소하고 있음직하지 않은 순서로 차례차례 소개하여 청중으로 하여금 문장 구조 전체가 와르르 무너져 내리지 않을까 두려워하게 만드는가 하면 청중이 흥분하여 연설가의 모함에 참가하게 만들다가 오랫동안 헤맨 끝에 마지막에 가서 적절한 순간에 뜻밖에도 고대하던 결론을 내림으로써 다름 아닌 전치법의 대담성과 무모성에 의해 청중을 더욱더 놀라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