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고는 고양에 있고 확장은 외연에 있다



롱기누스는 수사학 교과서에는 확장이 주제에 위대성을 부여하는 표현 방식이라고 적혀 있지만 이런 정의는 명백히 숭고와 감정 그리고 은유적 문체들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부당하다고 말한다. 그는 숭고는 고양에 있고 확장은 외연에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숭고는 때로 단 하나의 사상 속에서도 발견되지만 확장은 어느 정도의 양과 여분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개략적으로 말해서 확장은 주제에 관계되는 부분들과 국면들을 모은 다음 거기에 머묾으로써 논증을 강화하는 것이다. 숭고에는 과장과 격렬한 감정이 내포되어 있으며 청중을 격동시키지만 로마의 웅변가이자 정치가 키케로Cicero(기원전 106-43년)의 특징인 확산은 말의 홍수로 청중을 휩쓰는 것이라고 말한다. 확산은 대체로 일반적인 고찰과 결론 그리고 여담에 적합하며, 모든 서술적 및 과시적 연설과 역사적 및 자연철학적 기술과 그 밖에 수많은 유형의 저술에 적합하다고 말한다.




롱기누스는 플라톤은 ‘소리 없는 강물’처럼 흐르는데도 숭고에 도달했다고 말한다. 플라톤은 숭고에 이르는 다른 길을 보여주었는데, 과거의 위대한 산문 작가들과 시인들을 열심히 모방하는 것이라고 했다. 많은 작가들이 다른 사람들의 입김에서 영감을 받는데 퓌토Pytho(델포이Delphoi의 옛 이름)의 예언녀에 관한 이야기와 같다면서 예언녀가 신적인 입김이 솟아오른다는 대지의 갈라진 틈 가까이 있는 세발솥에 다가가면 그곳으로부터 신적인 힘을 잉태하게 되는 것처럼 신성한 심연에서처럼 옛 작가들의 수호신으로부터 힘이 솟아나와 그들을 모방하는 사람들의 영혼 속으로 흘러든다고 말한다. 그는 플라톤이 호메로스라는 샘으로부터 그 자신이 사용하기 위해 수많은 실개천을 냈다고 말한다. 플라톤은 경쟁심에서 지나치게 투지에 넘쳐 있었지만 그런 다툼은 결코 무익하지 않다면서 헤시오도스(기원전 8세기 말경의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가 “그런 불화는 인간에게 유익하다”고 한 말을 인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