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정의 과도내각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이 무렵 사태수습을 협의 중에 있던 국회는 3·15선거의 무효화 선언과 내각책임제의 개헌 등을 수습방안으로 채택했다가,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소식이 발표되자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사임권고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국회의 결의가 전달되자 이승만 대통령은 4월 27일 국회의 결의를 존중하여 즉각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히고 대통령직 사임서를 국회에 전달했다.
이어 이승만은 이튿날 경무대를 떠나 사저인 이화장으로 옮겼다.


4월 27일 국회의 결의에 따라 이승만 대통령의 사임이 발표되자 허정 외무장관은 자동적으로 대통령 서리에 취임했다.
시민의 시위가 막바지에 달했을 때 이승만은 4월 24일 민주당 대표최고위원인 허정을 외무부 장관에 임명했다.
허정은 취임과 더불어 내외 기자단과 회견을 갖고 선거를 위한 과도정부의 당면과제로 첫째, 정·부통령 선거는 국회와 협의하여 실시하며, 둘째, 경찰의 중립화를 법안으로 추진하고, 셋째, 과도정부의 각료는 비정당인으로서 구성한다는 등의 3개항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허정 내각수반은 ‘비혁명적 방법에 의한 혁명’을 수행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하면서 4월 28일 과도정부의 입각자 명단을 발표했다.


내무장관: 이호

법무장관: 권승렬(유임)

재무장관: 윤황병

문교장관: 이병도

부흥장관: 전예용

상공장관: 전택무

보사장관: 김성진

교통장관: 석상옥
(이하는 5월 2일에 발표된 입각자 명단)

국방장관: 이종찬

체신장관: 오정수

농림장관: 이해익

공보실장: 서석순


허정 내각은 5월 2일 첫 국무회의를 열어 혼란 상태에 있는 정국을 수습하고 난맥 상태에 있는 경제위기를 타개할 것을 다짐했다.
다음은 혁명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당면 정책 다섯 가지이다.


1. 부정선거 관련자를 엄중 처벌한다.

2. 경제사범을 엄단한다.

3. 경제적 민주화를 지향하는 시책을 추진한다.

4. 중소기업 육성에 재정적으로 뒷받침한다.

5. 악질 세무 관리를 엄단한다.


허정은 첫째, 반공주의를 더 한층 강화하고, 둘째, 부정선거 처벌대상은 고위 책임자와 잔학행위를 한 자에게만 국한하며, 셋째, 4·19혁명 당시 미국의 행위를 내정간섭 운운하는 것을 이적행위로 간주하고, 넷째, 한국과 일본 관계의 정상화 노력과 일본 기자 입국을 허용한다고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