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과도정부에 참여 회피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당시 민주당은 당내 응집력과 일체감이 결여되어 있었으므로 정권을 인수할 채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차기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과도정부에 직접 참여하는 일은 피하고 다만 허정 과도정부에 영향력만을 행사하기로 했다.
이같이 여야가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가운데 허정으로 하여금 과도정부를 이끌게 했으나, 관심의 초점은 혁명과업 수행과 새로운 정부의 탄생을 위한 정치적인 현안 문제들이었다.
이런 난관을 둘러싸고 과도정부, 민주당 신파와 구파, 그리고 자유당은 서로의 견해 차이와 이해의 상충으로 난맥상을 연출했는데 그 원인은 다음에 있었다.


첫째, 혁명의 주체세력이 정권담당 세력으로 등장하지 못했고,

둘째, 구정권에 의해 기용된 사람이 과도정부를 맡게 되었으며,

셋째, 자유당 정권은 몰락해도 자유당 국회는 엄존해 있었고,

넷째, 민주당 양파는 혁명과업 완수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고, 서로 자파의 정권장악에만 혈안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허정은 과도정부의 정책기조 방향을 밝힘에 있어 과도정부의 일부는 새 정부 출범을 위한 산파역이란 대전제를 깔고 4·19봉기의 여파를 극소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는 4·19를 의거로 인식했고, 혁명을 비혁명적인 방법으로 처리하려고 했다.
허정 수반의 정치적 방향도 그러했거니와 이를 뒷받침한 것이 국회에서의 자유당의 포진이었다.
과도정부는 반민주행위자와 부정축재자들에 대한 처벌에 있어 편의주의적 호도책으로 일관하면서 부득이한 문제들만을 최소한으로 다루는 데 그쳤다.
자유당은 국회 내 다수의석을 이용하여 친이정권(親李政權) 관리들에 대한 처벌 움직임을 봉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