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국회에서의 개헌이냐, 새 국회에서의 개헌이냐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장면의 막료인 조재천, 김영선(이상 국회의원), 한창우(당시 경향신문 사장) 등은 장면에게 “기왕 집권할 바에는 대통령으로서 소신 있는 정치를 하는 것이 좋다”고 건의했다.
반면 구파는 내각책임제 개헌을 통해 자기들의 집권을 구상하고 있었다.
대통령을 직선하는 경우 장면과 대결할 만한 리더가 없으나 의회 내 다수당(파)이 집권하는 내각제에서는 희망을 가질 만했다.
구파의 일차 전략은 대통령 재선을 막고 내각책임제 개헌을 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뒤따르는 문제는 현 국회에서 개헌을 하느냐 아니면 총선거를 거쳐서 새 국회에서 개헌을 하느냐 하는 논쟁이었다.


당시 정계, 언론계, 그리고 일반 여론은 마땅히 현 국회는 해산하고 새 국회에서 개헌을 해야 한다는 것이 지배적이었다.
국회는 자유당 의원들의 지배하에 있고, 그들의 많은 수는 5·2총선 때 부정으로 당선된 자들이므로 새 공화국의 헌법을 다룰 윤리적 정당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논리적인 근거였다.
당시 민주당의 친신파지로 인식되었던 경향신문은 국회가 개헌을 다룰 권리가 없고 난국에 대한 수습책은 정·부통령 선거를 다시 실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구파의 입장을 지지해 오던 동아일보까지도 사설에서 빠른 국회 해산과 총선 실시를 주장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