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당의 고심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과도정부 초기의 정치적 관심사는 대통령 재선거, 내각책임제 개헌, 4·19혁명과업 수행 등을 둘러싼 과도정부, 민주당 신파와 구파, 자유당 사이의 의견 차이와 이해대립을 어떻게 타결하느냐 하는 문제들이었다.
특별히 관심을 둔 것은 소위 ‘선선거, 후개헌’(민주당 신파의 주장), ‘선개헌, 후선거’(민주당 구파의 주장)로서, 이때 자유당은 자구책으로 구파에 동조하고 있었다.
자유당은 차기 총선에서 40 혹은 50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그렇게 된다면 민주당에게 안방을 내주고 사랑방을 차지하여 야당으로 존속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사실 그즈음 허정 과도정부의 비혁명적 태도와 은근히 협조의사를 보이는 주한 미대사관 측의 태도 그리고 현 정세에서 혁신세력에 대한 견제 등의 분위기는 자유당이 존속할 수 있는 상당한 여지를 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개헌이 빨리 추진되는 것에 제동을 걸면서 허정 과도정부의 완충지대를 가급적 천천히 지나가려고 애를 썼다.
특히 3·15 정·부통령 선거사범 공소시효 만료기일인 6월 15일까지 어떻게 지연시키느냐에 고심하면서 국회 출석을 기피하곤 했다.


이들은 만일 선거사범 공소시효 만기 전에 개헌이 되면 그들에게 어떠한 위해가 가해지지 않을까 하고 불안해했으며, 또 개헌안 중 그들에게 불리한 조항에 말려들어 반민주행위자 처벌과 부정축재자의 재산 환수를 위한 소급입법 조치 등이 삽입된다면 국회에서 다수의 힘으로 발언하려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