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장에 곽상훈을 선출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4·19혁명 이후 사태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자유당은 대체로 민주당의 구파와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때가 많았다.
장면을 구심점으로 하는 민주당 신파측은 정·부통령 선거를 즉시 다시 하자고 주장한 데 비해, 자유당과 민주당 구파의 입장은 ‘선개헌, 후선거’였다.
자유당으로서는 자기들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국회에서 개헌을 하도록 함으로써 자기들의 발언권을 확보함과 동시에 혁명으로 인해 자유당에 돌아올 피해를 가능한 한 줄여보자는 속셈이었다.
한편 민주당 구파로서는 신파가 대통령에 당선되어 집권하는 것을 우선 막아보자는 입장이었다.


5월 2일 국회는 공석중인 국회의장으로 민주당 내 중도파인 곽상훈 의원을 선출했으며, 5월 11일에는 양원제와 내각책임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었다.
그즈음 허정이 이끄는 과도정부에 의해 3·15부정선거 관련자들에 대한 처벌이 시작되었고, 5월 21일에는 최인규, 이성우, 이강학, 한희석, 이재학, 임철호 등이 정식으로 기소됐다.
국회는 이재학 부의장에 대한 체포 등의 문제를 두고 진통을 겪었다.


이재학은 민주당 구파와 손을 잡고 있었기 때문에 신파 측에서는 이번 기회를 이용해서 이재학을 제거하자고 하는 움직임이 없지 않았다.
당시 자유당에는 당을 다시 일으켜 보자는 재건파와 당의 이미지가 좋지 못하니 즉각 해체하는 것이 이롭다는 혁신파로 갈려 있었다.
이 틈에 이재학의 체포동의안은 통과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