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 원흉 구속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이 시기에 국민의 관심은 자연히 4·19혁명의 뒷처리에 있었다.
혁명적 분위기에 들뜬 학생과 시민들은 3·15부정선거의 주역들과 4·19혁명 때 살상행위를 자행한 자들의 처벌을 요구했다.
그들이 원했던 것은 첫째, 부정선거 원흉들을 처단할 것, 둘째, 발포책임자들을 색출할 것, 셋째, 부정축재자들을 척결할 것, 넷째, 정치깡패의 처벌 등이었다.
허정 수반은 4월 28일 3·15부정선거에 관한 처리에 관해 의견을 밝힌 바 있었다.
그는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3·15부정선거의 책임소재를 밝히고 엄정히 다스리겠다”고 다짐했다.


검찰은 과도정부의 방침에 따라 먼저 3·15부정선거 당시 내무장관으로 국회의원을 겸하고 있던 최인규를 구속하는 한편, 법무장관 김일환, 교통장관 김일환, 재무장관 송인상, 농림장관 이근직, 문교장관 최재유, 부흥장관 신현확, 보사장관 손창환, 상공장관 구용서, 서울 시장 임흥순, 부시장 최응복, 경무관 곽영주, 치안국장 이강학, 치안국 특정과장 이상국, 내무차관 이성우, 내무부 지방국장 최병환, 내무국장 김용진, 시경 국장 유충렬, 시경 치안과장 조인구, 시경 보안과장 고상원, 시경 경비과장 백남규, 공보실장 전성천, 경무대 비서관 박찬일, 자유당 선거사무장 한희석 의원, 반공청년단장 신도환, 자유당 기획위원인 이중재, 임철호, 이재학, 장경근, 박원만, 정문흠, 정존수, 이존화, 정기섭, 박용익, 조순 등을 차례로 구속했다.


이들 부정선거의 원흉과 발포책임자, 정치깡패 등에 대한 재판은 과도정부에서 장면 정권과 군사 쿠데타 정권으로 이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