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재자 투표와 동시선거 문제로 대립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신파 측은 군 주둔지인 강원도에 공천해야 할 후보들이 많았다.
이 지역에서 출마하려는 사람들은 그곳이 연고지이기 때문이 아니라 군인들의 표를 믿고 출마하려는 계산이었다.
만일 부재자 투표제가 실시되면 상대적으로 신파는 적어도 10여 석을 잃게 되고 상대적으로 구파는 그만큼 득을 보게 된다.
신파는 집을 떠난 지 오래된 군인들이 고향 선거구 입후보자들의 인품과 능력을 판단하기 어렵고, 군인들이 우편으로 투표권을 행사하게 되면 많은 부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했다.


그러나 구파는 군인은 직무상 언제 어디로 이동할는지 모르는데 그들에게 일정 지역을 대표하는 의원들을 선거하는 것은 모순이며, 또한 국방의 의무를 맡고 있는 군인들에게 선거운동으로 군인정신을 흐리게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 양파는 민의원과 참의원 동시선거 문제로 대립했다.
이 점 역시 양파 사이에 이해가 상반되었다.
신파는 양원 의원 후보자를 동시에 천거할 만한 인적 자원과 당선의 확실성이 없어 만일 낙선되면 참의원으로 구제할 전략을 세우고 있었다.
이에 반해 구파는 민의원과 참의원 동시선거에 내보낼 인적 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동시 선거를 해야 공천경합을 완화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구파는 동시선거 주장 이유로, 새 헌법상 대통령은 양원 합동회의에서 선출해야 하고, 한 번 선거로 선거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농번기에 바쁜 농민의 일손을 빼앗아서는 안 되며, 민의원에 낙선된 자가 참의원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점을 지적했다.


부재자 투표제와 민의원과 참의원 동시선거 문제는 합의되지 않아 표결되었다.
부재자 투표 문제는 신파 측에서 얼마나 절박했던지 제도 자체는 채택하더라도 이번 선거에서만은 적용하지 말고 차기 선거 때부터 시행하자는 절충안을 냈으나 역시 구파에 밀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