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이슈인 한일 국교정상화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민주당과 자유당 두 보수정당은 경제, 사회정책 공약에서 종전의 테두리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혁신 정당들은 중요한 산업의 국영화를 표방했다.
외교정책에서는 보수와 혁신이 다 같이 새로운 이슈로 한일 국교정상화, 중립국과의 적극적인 외교를 주장했으며, 통일정책에서는 민주당과 자유당이 반공통일을 고수한 데 비해 혁신계는 반공이란 용어가 빠지고 민주통일로 표시하여 변화의 일면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같은 공약들은 화려한 구호에만 그쳤고 실현성은 없었으며, 우리나라 선거사에서 늘 보아왔듯이 공약이 투표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선거 분위기의 측면을 보면 역대 어느 선거보다도 자유로웠다.
오히려 자유가 넘쳐서 방종으로 흐르고 있었다. 혁명 주체가 선거에 참여하지 않았고 과도정부가 선거를 관장했기 때문에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사상 최대의 폭력과 난동의 불상사가 일어났는데, 그 이유는 주로 자유당과 그 동조세력인 반민주인사들의 입후보를 제지하기 위해서였다.


4·19혁명세력이라고 자처한 일부 학생과 시민들은 자유당과 무소속으로 변신한 반민주 출마자들의 선거사무소와 집을 습격했는가 하면 연좌데모, 단신데모를 통해 그들에게 입후보 사퇴를 강요했다.
이 같은 사태는 선거 당일 더욱 격심하여 전국의 3백여 개의 투표함이 방화 또는 파괴되었고, 무려 1,793건의 선거범을 유발케 했다.
사건의 대부분은 자유당이 유망한 선거구에서 일어났으며, 민주당 후보, 대부분 신파의 반발에 의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민의원 보궐선거가 8월 18일에 남원 갑, 삼천포, 산청, 창녕에서, 19일에는 고성에서, 23일에는 괴산, 대전 갑, 여천, 광산, 김천, 영양, 밀양 갑, 영도에서 각각 실시되었다.


또한 참의원 선거의 경우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지역은 정족수의 당선자를 결정하지 못해 8월 13일 재선거를 실시하여 당선자를 확정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