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관료출신의 행정내각

<한국정당정치 실록>(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장면 내각의 성격을 분석하면 한 마디로 전형적인 관료중심의 내각이었다. 이들의 전직은 대부분 공무원들로서 행정형이었다.
이한빈 교수가 지적했듯이 이들은 계획지향적 분자들이었다.
이런 성격에서 장면 내각의 지향성과 상황인식 및 사안의 대처방안 등을 읽을 만했다.
다분히 행정적 차원을 크게 넘어서지 못할 것이 예견되었다.
내각 명단이 발표되자 장면 국무총리는 구파의 규탄 못지않게 신파 소장의원 그룹의 거센 반발을 샀다.


이철승을 중심으로 한 소장그룹은 자기들의 기여야말로 장면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자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각에서 완전히 소외되자 불만이 폭발했다.
이들은 내각 발표가 있던 날 하오 긴급 회합을 갖고 원내에 별도의 교섭단체 구성까지 고려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여 장면 정권의 원내 안정 세력 구축에 위협을 가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소장파는 구파를 조직에서 배제함으로써 야기되는 분당 문제에서 명분을 찾아 구파의 소장의원들과 제휴하며 당의 혁신을 주장하고 나섰다.
구파와 신파 소장그룹의 협공을 받은 장면 정권은 출범하자마자 동요되기 시작했다.


장면 국무총리는 내각을 구성한 이튿날 조만간 개각을 해야겠다고 언명한 후 불과 3일 후인 8월 26일 하오 6시 국무회의를 소집해서 당내 분규 수습을 위한 개각문제를 논의했다.
그때 국민은 구파를 포용하지 못하는 장면 국무총리의 협량에 아쉬움을 표했다.
조직협상에서 결별의 요건이 된 거당내각이냐 연립내각이냐의 문제를 초월하여 첫 내각만은 일단 신파와 구파가 다 함께 참여하는 내각을 구성했어야만 했다.


한편 구파는 8월 31일 86명 의원들로 구파 동지회를 구성한 후 민의원에 원내 교섭단체를 등록했으며, 9월 3일에는 원내총무에 양일동, 부총무에 이민우와 김영삼을 각각 선출했다.
분당준비가 한 단계씩 추진되어 가고 있었다.
이 같은 구파의 결별태세와 신파 소장그룹의 도각 위협으로 불안을 느낀 장면 국무총리는 다시 거국적인 내각을 구성하기 위해 9월 7일 홍익표 내무장관, 현석호 국방장관, 이태용 상공장관, 오위영 내각사무처 장관의 사임을 요구했다.
사임을 요구했다기보다는 이들이 스스로 장면 국무총리에게 내각 개편의 길을 열어주기 위해 퇴진을 결심했다.
이에 따라 장면의 내각은 구성된 지 2주일 만에 각료들의 사임을 받게 되었다.


장면 국무총리는 구파에게 협력을 구했다. 그는 지난번 조각협상 때의 정신을 살려 구파에게 각료 5석을 할애하고 연립내각 성격까지도 수락하겠다면서, 다만 지난번과 달리 구파에서 10명을 추천해 주면 자기가 그들 가운데 5명을 선택하겠다고 했다.
구파는 다시 의원총회를 열어 국무총리의 제안을 토의한 결과 장면의 제의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입각자들에 대한 인선은 백남훈, 김도연, 유진산 세 사람에게 일임되어 9월 9일 제1차 개각이 단행되었다.
구파에서 입각한 사람들은 권중돈 국방장관, 김우평 부흥장관, 나용균 보사장관, 박해정 교통장관, 조한백 체신장관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연립내각의 성격상 구파에서 소환하면 언제나 되돌아온다는 조건하에서 입각했다.
그리고 한 가지 유의할 점은 구파 내에서의 이들의 비중은 중간 수준급 인사였다는 것이다.
구파의 최고 지도급 인물들이 연립내각에 참여하지 않는 한 실질적인 협력은 어려웠다.
장면 국무총리의 측근인 한근조는 김도연, 유진산 등의 내각 참여 없이는 신파와 구파의 협력체제는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인식하고 이들의 입각을 권유하기 위해 장면 국무총리실 문을 노크했으나 유진산이 조각 회담을 마치고 돌아간 바로 뒤였다.
구파는 장면 내각이 단명할 것으로 전망하고 시간만 흐르면 자기들에게 정권이 돌아온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