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닷의 1차 충고 │ 8장

<욥 이야기>(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1 수아 사람 빌닷이 대답하여 가로되

2 네가 어느 때까지 이런 말을 하겠으며 어느 때까지 네 입의 말이 광풍과 같겠느냐

3 하나님이 어찌 심판을 굽게 하시겠으며 전능하신이가 어찌 공의를 굽게 하시겠는가

4 네 자녀들이 주께 득죄하였으므로 주께서 그들을 그 죄에 붙이셨나니

5 네가 만일 하나님을 부지런히 구하며 전능하신 이에게 빌고

6 또 청결하고 정직하면 정녕 너를 돌아보시고 네 의로운 집으로 형통하게 하실 것이라

7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나 네 나중은 심히 창대하리라

8 청컨대 너는 옛 시대 사람에게 물으며 열조의 터득한 일을 배울 찌어다

9 (우리는 어제부터 있었을 뿐이라 지식이 망매하니 세상에 있는 날이 그림자와 같으니라)

10 그들이 네게 가르쳐 이르지 아니하겠느냐
그 마음에서 나는 말을 발하지 아니하겠느냐

11 왕골이 진펄이 아니고 나겠으며 갈대가 물 없이 자라겠느냐

12 이런 것은 푸르러도 아직 벨 때 되기 전에 다른 풀보다 일찌기 마르느니라

13 하나님을 잊어버리는 자의 길은 다 이와 같고 사곡한 자의 소망은 없어지리니

14 그 믿는 것이 끊어지고 그 의지하는 것이 거미줄 같은 즉

15 그 집을 의지할 찌라도 집이 서지 못하고 굳게 잡아도 집이 보존되지 못하리라

16 식물이 일광을 받고 푸르러서 그 가지가 동산에 뻗어가며

17 그 뿌리가 돌무더기에 서리어서 돌 가운데로 들어 갔을 찌라도

18 그곳에서 뽑히면 그 자리도 모르는 체하고 이르기를 내가 너를 보지 못하였다 하리니

19 그 길의 희락은 이와 같고 그 후에 다른 것이 흙에서 나리라

20 하나님은 순전한 사람을 버리지 아니하시고 악한 자를 붙들어 주지 아니 하신즉

21 웃음으로 네 입에 즐거운 소리로 네 입술에 채우시리니

22 너를 미워하는 자는 부끄러움을 입을 것이라 악인의 장막은 없어지리라



좲 해설 좳

빌닷은 젊은 신학자였다. 그도 엘리바스와 마찬가지로 정통신학을 고수한 보수주의자였으며 인과응보 사상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의 이론은 신학자답게 간결한 문장에 논리가 정연하다.
그의 말투는 고난을 당한 친구에게 주는 위로가 아니라 무서운 범죄 사실을 고발하는 검사의 준엄한 논고처럼 들린다.
그는 하나님의 온전하시고 공정하심을 들어 욥으로 하여금 회개하기를 독려하였다.
그는 욥에게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라고 충언하면서 욥의 말처럼 하나님께서 불의하게 욥을 괴롭히시는 것이라면 그것은 하나님을 모순되게 하는 것으로 이치에 맞지 않다고 했다.
그러나 욥은 하나님이 실제에 있어서 우리들의 관념과는 달리 온전하시거나 공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빌닷은 자신이 경험한 유대인의 전통적 정의와 공정사상을 주장하였다.
그는 하나님의 정의와 공정은 우주 만상의 질서를 보장한다고 장담하였다.
그는 “하나님이 어찌 심판을 굽게 하시겠으며 전능하신 이가 어찌 공의를 굽게 하시겠는가”(3절)라고 하면서 하나님께서는 절대로 불공정하게 우주를 섭리하시는 분이 아님을 지적하였다.
그의 말은 창세기의 말씀을 상기하게 한다.


주께서 이같이 하사 의인을 악인과 함께 죽이심은 불가하니이다
세상을 심판하시는 이가 공의를 행하실 것이 아니니이까 (창세기 18:25)


빌닷은 하나님의 세계는 정의와 공정의 토대 위에 건립되었다고 주장했는데 이런 신학을 시편과 신명기에서 본다.


의와 공의가 주의 보좌의 기초라 인자함과 진실함이 주를 앞서 행하나이다 (시편 89:14)


그는 반석이시니 그 공덕이 완전하고 그 모든 길이 공평하며 진실무망하신 하나님이시니 공의로우시고 정직하시도다 (신명기 32:4)


빌닷은 “자네 아들들이 그에게 죄를 지었으므로 그가 죄 값을 물으신 것이 분명하네”(4절)라는 말로 친구를 위로하기는커녕 정죄하려고 했다.
그는 학문이 앞선 학자일는지는 몰라도 친구에 대해서는 우정과 사랑은 없는 각박한 사람이었다.
친구가 전 재산을 잃고 앓아누웠으며 자식들은 모두 죽었는데 자식들이 죽은 것이 죄 값이라는 말은 욥의 가슴을 비수로 찌르는 것과 다름이 없다.
이보다 더 슬픈 일이 어디 있을까! 그는 욥의 가장 아픈 부위를 사정없이 찌른 것이다.
빌닷은 병 주고 약 주는 돌팔이의사의 처방을 친구에게 내린 것이다.
빌닷뿐만 아니라 친구들에게는 욥이 기대했던 사랑이 없었다.


빌닷은 과연 욥을 이해하지 못한 친구였다.
그는 욥에게 죄가 없다손 치더라도 하나님의 자비를 구하면 그분께서 욥이 살 만한 곳을 장만해 주실 것이라고 했는데 그는 욥이 잃어버린 집을 다시 찾게 되면 만족해 할 것으로 오해하였다.
친구의 마음을 젊은 그는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것이다. 욥은 잃어버린 집을 다시 찾기를 바란 것이 아니었다.
그가 진정으로 바란 것은 하나님께서 그에게 주신 고난의 이유를 그분으로부터 직접 듣는 것이다.
빌닷은 현인들의 말을 빌어서 자신의 말에 권위를 세우려고 했다.
당시 사람들은 진리란 옛적부터 대대로 전해 오는 것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갈수록 본래의 진리에 더욱 가까워진다고 믿었으며, 오래 전에 산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 보다 바른 지혜의 정수를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옛날을 기억하라 역대의 연대를 생각하라
네 아비에게 물으라 그가 네게 설명할 것이요
네 어른들에게 물으라 그들이 네게 이르리로다 (신명기 32:7)


하나님이여 주께서 우리 열조의 날 곧 옛날에 행하신 일을 저희가 우리에게 이르매 우리 귀로 들었나이다 (시편 44:1)


그는 과거 현인들의 말을 경청하라고 욥에게 충고했다(10절).


네가 있기 전에 하나님이 사람을 세상에 창조하신 날부터 지금까지 지나간 날을 상고하여 보라
하늘이 이 끝에서 저 끝까지 이런 큰 일이 있었느냐
이런 일을 들은 적이 있었느냐 (신명기 4:32)


진리의 원천은 하나님을 경외하는 신앙에도 적용된다.
신학의 정통성을 이어받은 빌닷과는 달리 욥은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고 했다.
빌닷은 왕골이나 갈대가 물 없이는 자랄 수 없는 자연의 이치를 예로 들어 욥으로 하여금 허황되게 전통신학을 무시하는 가운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임을 알게 하려고 했다.
그는 자연의 이치를 인용하였다.


1, 왕골이 진 펄이 아니면 날 수 없으며 갈대가 물이 없으면 자랄 수 없다고 했다.
이 두 식물은 가뭄이면 가장 먼저 마른다.

2, 거미가 거미줄에 의지한다는 것이다.
사람이 자신의 명예, 재산, 지위에 의지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3, 식물이 햇빛을 받아 푸르게 되고 뿌리가 돌 틈에 뻗어갈지라도 한 번 뽑히게 되면 그뿐이다.
하루 밤새 자랐다가 시들고 마는 요나의 박 넝쿨의 비유와 흡사한 이치이다.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는 사람들의 번영과 영화는 일장춘몽이다.


빌닷의 말은 시편의 말씀을 상기하게 한다.


저희는 풀과 같이 속히 베임을 복 것이며 푸른 채소 같이 쇠잔할 것임이로다 (시편 37:2)


저희는 지붕의 풀과 같을 찌어다 그것은 자라기 전에 마르는 것이라 (시편 129:6)


빌닷은 다시 자연의 이치를 예로 들어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는 사람들은 허망한 인생을 마칠 뿐만 아니라 그런 자들이 흙으로 돌아가면 하나님께서는 그 흙으로 다른 인간을 빚어내어 아예 그런 자들을 영원히 사라지게 만드신다고 했다. 아담과 이브의 창조설처럼 흙은 하나님이 인간을 만드는 재료이며, 죽음은 흙으로 돌아가는 것인데 하나님께서는 흙으로 똑같은 죄인을 창조하지 않으시고 새로운 인간을 창조하신다는 주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