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서 저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
김광우의 저서 <성경 이야기>(지와 사랑) 중에서

예수의 활약을 기록한 책은 네 복음서뿐이다.
따라서 복음서는 그리스도 신학의 주요 모델이 된다. 복음서가 쓰인 연대에 관해서는 학설이 분분하지만 마가가 먼저 50년대 후반에 썼고, 누가가 61년경에, 마태가 70년경 전후에, 요한이 90년경 썼다는 학설이 유력하다.


어거스틴은 마가가 마태를 전적으로 따랐으며 마가의 복음서는 마태의 것을 약분한 것이라고 했다.
근래 일부 신학자들이 어거스틴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있으나 대부분 신학자들은 마태보다 마가가 먼저 복음서를 썼으므로 마태가 오히려 마가의 저서를 참고했다고 말한다.


마가복음서를 당시 사람들은 베드로복음서라고 불렀는데 베드로가 기억한 내용을 마가가 기록했다고 믿은 때문이다.
베드로로부터 아람어로 들은 예수의 생애를 마가가 그리스어로 기록했다.
그가 50년대 후반에 복음서를 먼저 쓴 것이 사실이라면 베드로 생전에 쓰였으므로 베드로도 그 내용을 읽었을 줄 안다.
그는 예수의 활동을 시기적으로 제대로 배열하지 못했다는 평을 들었다.
그의 복음서에는 반복되는 구절이 많으며, 문장이 대칭적으로 구성되었고, 지성적이지 못한 점이 특징이다.
마가는 예수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제자들 모두 그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적었다.


마가복음서는 누가와 마태의 저술에 참고가 되었다.
두 사람이 마가복음서를 주로 인용했음을 본다.
마태는 무려 90%나 인용했으며 누가는 절반이 넘는 53%가량 인용했다.


1830년대 이후에는 50년대 말에 씌어진 것으로 알려진 마가복음서가 가장 먼저라는 학설이 유력하였다.
근래에 제기된 학설이 이 같은 사실을 의심하게 만드는데 마태복음서가 마가복음서보다 십 년가량 먼저 쓰였다는 것이다.
독일 신학자 카르스텐 티데(Carsten Thiede)는 옥스포드의 막달렌 대학이 소장한 근래 발견된 마태복음서의 파피루스 세 조각을 분석한 결과 파피루스 잎사귀가 50년 또는 그 이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마가가 오히려 마태복음서를 대부분 인용해 간결하게 요약했다고 해야 할 것이며 누가 또한 마태복음서를 인용했다고 추론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마태와 누가가 마가로부터 받은 영향에다 구전되어 온 예수의 가르침을 보태 썼다는 기존의 학설을 따르며 마태와 누가가 마가로부터 받은 영향에 관해 언급하였다.


누가 먼저 썼느냐 하는 문제와 더불어 복음서 저자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피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마가·마태·누가복음서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은 약 150년 전이었다.
그리스바하(J. J. Griesbach)가 1776년에 세 사람이 같은 견해를 가지고 복음서를 썼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세 복음서를 가리켜서 공관복음서(synoptic gospels)라고 불렀다.
공관이란 함께 본다는 뜻이다.
네 복음서 저자 가운데 요한을 제외한 마태, 마가, 누가는 많은 점에서 같은 관점을 가지고 기록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세 사람이 공통으로 기록한 내용이 무려 330절이나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