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순(堯舜)의 왕도사상
인의(仁義)로 백성을 다스린다

<아주 오래된 오늘>(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요임금과 순임금이 천하를 인애(仁愛)로써 거느리매 백성들이 거기에 따라 했고, 걸과 주가 천하를 잔학과 횡포로써 거느리매 백성들이 거기에 따라 했다.
그들이 내리는 명령이 그들 자신이 실제 즐겨하는 것과 상반되는 것이면 민중들은 따르지 않는 법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자기에게 선이 있고 난 뒤에 남에게도 선이 있기를 추구하며, 자기에게 악이 없고 난 뒤에 남에게 나무랄 수 있나니, 제 몸에 간직한 것이 용서가 아니고서 능히 남을 깨우칠 수 있는 사람은 아직 없다.
그러므로 나라를 다스림은 그 집안을 다스림에 있다.

堯舜1 率天下以仁 而民 從之 桀紂2 率天下以暴 而民 從之 其所令 反其所好 而民 不從 是故 君子 有諸己而後 求諸人3 無諸己而後 非諸人 所藏乎身 不恕 而能喩諸人者 未之有也 故 治國 在齊其家 ●『대학』

주> 1 요(堯)와 순(舜)은 동양의 이상적인 전설적인 두 임금.
2 걸(桀)은 하(夏)나라 말기의 왕으로 폭군. 주(紂)는 은(殷) 말기 왕으로 잔학했던 왕.
3 有諸己而後 求諸人에서 제(諸)는 말 잘할 ‘저’로 발음하며 내가 잘한 후에 남이 잘하기를 구한다는 말이다.

어느 날 요임금이 변장을 하고 민정을 살피다가 만난 한 백성에게 “왕이 정치를 잘해서 태평성대를 누리니 왕의 은덕이라고 생각하지 않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백성이 대답하여 “해 뜨면 일어나고 해지면 쉬며, 우물 파서 물마시고 밭 갈아 밥 먹으니 제왕의 은덕이야 내게 무슨 상관인가”라고 했다.
이는 요의 정치가 너무도 원만하여 민중들이 의식하지 못할 만큼 태평무사 했다는 이야기이다.

요임금에게는 단주(丹朱)라는 왕자가 있었지만 불초(不肖)하여 왕위를 계승할 수 없었다.
임금은 초야에 묻혀 있는 대효(大孝) 순(舜)의 소문을 들었다.
신하들은 입을 모아 요 임금에게 다음과 같이 순을 천거했다.

그는 소경의 아들입니다.
그의 부친은 장님일 뿐 아니라 고약한 고집쟁이로 매우 불순한 자입니다.
그의 어미는 계모로서 간사하며 그의 이복동생 상(象)은 부모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순은 부모를 공경하고 형제와 화목하려고 애쓰면서 일가를 잘 다스려나가고 있습니다.
그는 덕망이 높고 과실이 없이 잘 살아가고 있사온데 그의 덕에 대한 감화는 그의 일가뿐 아니라 온 나라에 미치고도 남음이 있다고 생각되어 감히 그를 천거토록 진언합니다.

임금이 답하기를 “하지만 비록 그런 인물이라 하더라도 좀 더 그를 관찰한 후에 참으로 그가 능히 그럴 만한 인물이라고 판단되면 기꺼이 양위하기를 서슴지 않겠으며 그를 짐에게 가까이 불러들이기를 바란다”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짐에게 두 딸이 있는데 그 두 딸을 한꺼번에 그의 처로 삼게 하려 한다.”
그리하여 임금은 두 딸에게 각기 비옥한 땅을 골라서 나눠주고 순으로 하여금 두 딸을 맞아 살도록 하면서 임금을 돕는 높은 지위에 봉했다.
순이 그 임무를 맡은 다음, 날이 갈수록 눈에 뜨일 만큼 만사에 성적이 오르기 시작했고, 순의 덕이 천하 만방에 점점 널리 퍼져나가, 임금은 안심하고 순에게 제위를 맡기게 되었다.

순은 원래 초야에 묻혀서 질그릇을 굽고, 밭을 갈며 사는 현자로서 예지가 깊고 빛나며 밝을 뿐 아니라 온유하고 신실하여 깊은 덕을 지녔다고 한다.
요가 섭정(攝政) 28년 만에 순에게 선위(禪位)하고 죽자, 순은 제위를 왕자 단주에게 전하기 위하여 멀리 피신했다.
그러나 천하의 제후들이 단주를 따르지 않고 순을 찾아와 조근(朝覲)하자 순은 이것이 천명임을 깨닫고 비로소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

순은 우(禹)에게 치수(治水)를 맡기고 요의 왕업을 이어받아 훌륭히 발전시켰다.
그는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남쪽 바람의 훈훈함이여!
좋이 우리 백성들의 성냄을 풀어주리.
남쪽 바람이 때맞춰 불어옴이여!
좋이 우리 백성들의 살림을 풍부하게 하리로다.

순임금 재위 9년에 홍수가 나서 우가 치수의 대명을 받고 집을 떠날 때 부인은 임신 중이었다.
3년 후 자기 집 앞을 지나게 되었는데 집에서는 어린아이의 울음소리가 들렸으나 그대로 지나갔다.
그 후 3년 뒤 두 번째 집을 지날 때에는 자기 아들이 연을 날리고 있었으나 그대로 지났다.
3년 후 세 번째 지나갈 때에는 안에서 아들의 글 읽는 소리가 들렸으나 그대로 지나쳤다고 한다.
우는 이처럼 천자의 명령에 충성했으므로 천하를 얻게 되었다.

순임금에게는 상균(商均)이라는 왕자가 있으나 그 역시 불초한지라 순은 치수에 공이 있는 우에게 선위한 것이다.
왕도(王道)사상이란 요, 순, 우, 탕, 문, 무, 주공 등의 역대 왕들의 인의를 중심으로 한 지도이념이다.
이것은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고 백성을 사랑하는 것을 정치이념으로 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