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왕의 역성혁명(易姓革命)
하늘의 인심은 백성이 보고 듣는 것에 달렸다 

<아주 오래된 오늘>(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제 선왕: 탕 임금이 걸을 내쫓고, 무왕이 주(紂)를 정벌했다는데 그런 일이 있습니까?
맹자: 옛 기록에 있습니다.

제 선왕: 인도(仁道)를 해치는 자를 도적이라 하고, 의리를 해치는 자를 잔(殘)이라고 합니다.
잔적(殘賊)을 일삼는 자는 필부(匹夫)라고 합니다.
필부인 주를 죽였다는 말은 들었어도 임금을 죽였다는 말은 아직 듣지 못했습니다. ●『맹자』, 「양혜왕」편

맹자는 『서경』에서 역성혁명을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여기에서 특히 인의를 해치는 자는 왕이라 할지라도 이미 왕이 아니라고 함으로써 주(紂)는 곧 필부라고 규정했다.

수(受, 주왕을 말함)가 신하 억만을 두나 마음이 억만이고, 나는 신하 삼천을 두나 마음은 하나이다.
상(商)나라 죄가 천하에 가득한지라 하늘이 명하여 베이라 하시니 내가 하늘의 명을 따르지 않으면 그 죄가 같으리라.
수가 억조 오랑캐를 두었으나 마음이 떠나고 덕이 떠났고 나는 신하 열 사람을 두니 마음이 같으며 덕이 같으니, 비록 그는 지극히 친한 것 같은 사람을 두나 아첨배들이며 어진 사람만 같지 못함이라.
하늘의 인심이 우리 백성의 봄으로부터 하시며, 하늘의 들으심이 우리 백성의 들으심으로부터 하시니, 백성의 책망함이 나 한 사람에게 있으니 이제 나는 반드시 가리라. ●『서경』, 「태서」편

이 글은 주(周)나라 무왕이 선왕인 문왕(文王)의 뜻을 이어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괴롭히는 포악무도한 주를 토벌하기 위하여 내린 조서이다.
옛날 중국은 중앙에는 왕인 천자(天子)가 있고 지방은 제후국(諸侯國)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제후들은 신하로서 천자에 복종했다.
그러나 종주국인 은(殷)나라의 주왕은 폭군으로 주색에 빠져 민생은 도탄에 빠지게 하고 왕에게 간하는 충신들은 모두 죽였다.

주나라는 제후국이었으나 문왕이 덕으로 다스리고 백성을 사랑했기 때문에 백성들은 모두 복종했다.
문왕이 죽자 즉위한 무왕은 주를 정벌할 사명감을 느끼고 주를 토벌하지 않으면 자기도 같은 죄를 지어 하늘의 천벌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하늘은 백성을 불쌍히 여기시고 반드시 백성이 바라는 바에 따를 것이다.
그는 백성 전체를 위해 군사를 일으키는 것이며 반드시 하늘의 도움으로 승리할 것을 믿었다.
이와 같은 명분을 내걸고 주를 토벌해서 멸망시켰다.

무왕의 교훈은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망한다’는 원리이다.
주왕은 폭정을 했으므로 민심이 흩어져서 신하가 억만이라도 민심이 억만이고, 자기는 신하가 삼천이나 마음은 하나라는 것이다.
하늘이 감시하는 바는 백성이 보는 바와 같고, 하늘의 듣는 바는 백성이 듣는 바와 일치한다.
즉 민심이 천심이라는 것이다.
무왕은 하늘을 대신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대사를 단행했다.
부왕인 문왕은 덕이 많아 천하가 그를 따랐으나 은인자중하여 주왕이 바른 정치로 돌아오기를 기다리다가 죽었다.
무왕은 더 참는 것은 하늘에 죄를 짓는 일이요, 부왕의 뜻을 거스르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태공망(太公望)을 군사로 삼아 혁명을 성취했다.

그러나 하늘을 대신해서 불의를 친다는 천명사상은 역사상 많은 폭군들에 의해서 악용되었다.
태평양 전쟁 시 일본은 하늘을 대신하여 불의를 친다는 구실로 그들의 침략행위를 정당화했다.
6·25 전쟁 때 공산군의 남침은 남한 백성을 해방시킨다는 것을 구실로 삼았다.
5·16 군사 쿠데타, 12·12 사건 등으로 이뤄진 군사정권 또한 정치적 안정을 핑계 대며 악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