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슈타인과 여자들



아인슈타인의 생애에서 여성과의 관계는 복잡했는데, 그의 매력적인 호소와 감동적인 예절이 여성들을 끊임없이 끌어들였다.
엘자와 결혼한 후인 1923년 그는 비서인 베티 노이만과 사랑에 빠졌다.
그들의 사랑은 진지했고 열정적이었다.
그해 가을 라이덴을 방문하던 그는 뉴욕에서 직장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그녀가 비서로 함께 갈 것을 제안하는 편지를 썼다.
그는 그녀와 엘자와 함께 살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는 “내가 아내를 설득할 것입니다. 우리는 영원히 함께 살 수 있을 것입니다. 뉴욕 외곽에 큰 집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했다.

그녀는 그의 생각을 비웃는 답장을 보냈고 그는 곧바로 자신이 “무분별한 바보”였음을 인정했다.
“당신은 늙은 수학자이인 나보다 삼각형 기하학의 어려움에 대해 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는 이 세상에서 자신에게 허락하지 않는 진정한 사랑을 “별에서 찾아야만 한다”고 한탄하면서 사랑을 끝냈다.
“사랑하는 베티, 나를 늙은 원숭이라 비웃고 나보다 열 살은 젊으면서 나만큼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을 찾으세요.”

그러나 관계는 계속되었다.
다음 해 여름에 아들을 만나러 독일 남부에 간 아인슈타인은 인근 휴양지에 와있던 엘자와 그녀의 딸들에게 가는 것이 “지나치게 좋은 일”이기 때문에 가지 않겠다는 편지를 보냈다.
그는 베티 노이만에게 몰래 베를린으로 가겠다는 편지를 보냈다.
만약 엘자가 그런 사실을 알면 “날아서 되돌아올 것”이기 때문에 아무에게도 그런 사실을 말하지 말도록 당부했다.

카푸트에 집을 지은 후에는 엘자가 매우 싫어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자들이 계속 찾아왔다.
반제에 별장을 가지고 있던 부유한 미망인 토니 멘델이 가끔 카푸트르로 와서 함께 보트를 즐기기도 했으며, 그가 보트를 타고 그녀의 별장으로 가서 피아노를 치면서 늦은 밤까지 머물기도 했다.
그들은 가끔 베를린의 극장을 함께 찾아가기도 했다.
운전사가 모는 리무진이 아인슈타인을 데리러 왔을 때 엘자는 그녀와 심하게 싸우고 그에게 용돈을 한 푼도 주지 않았던 적도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에텔 미카노프스키라는 베를린 사교계의 명사와도 관계를 가졌다.
그녀는 1931년 5월 그의 옥스퍼드 여행에 따라가서 그 지역의 호텔에 머물렀던 것이 분명했다.
그는 어느 날 크리스트 처치 대학의 편지지에 그녀를 위한 오행시를 짓기도 했다.
그 시는 “긴 가지가 정교하게 매달린, 그녀의 눈길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네”로 시작되었다.
며칠 후 그녀는 그에게 비싼 선물을 보냈지만 고맙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그는 “작은 소포가 정말 날 화나게 만들었습니다. 내게 끊임없이 선물을 보내지 말아주십시오. ... 어차피 무분별한 넉넉함으로 가득한 영국 대학으로 그런 것을 보내다니!”하고 했습니다.

미카노프스키가 옥스퍼드로 아인슈타인을 찾아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 엘자가 분노했다.
아인슈타인은 옥스퍼드에서 엘자에게 침착하도록 당부하는 편지를 보냈다.
그는 마르고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든 여성 중에서 나는 실제로 전혀 해가 되지 않고 존경할 만한 L 부인에게만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적었다.
이는 그가 공개적으로 관계를 가지고 있던 마르가레테 레바흐라는 이름의 금발 오스트리아 여성이었다.
카푸트를 방문한 레바흐는 엘자를 위해 과자를 가지고 왔다.
그러나 엘자는 당연히 그녀를 용납하지 않았다.
그녀는 레바흐가 오는 날에는 베를린으로 쇼핑하러 마을을 떠났다.

한번은 레바흐가 아인슈타인의 보트에 옷을 남겨두었고 그 때문에 가족들 사이에 소동이 일어났다.
엘자의 딸이 그녀에게 아인슈타인이 관계를 끝내도록 압력을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엘자는 남편이 거절할 것을 두려워했다.
아인슈타인은 자신이 남자와 여자는 자연적으로 일부일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결국 엘자는 자신들의 결혼을 유지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결정했다.

아인슈타인의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여성은 엘자로부터 완전히 떨어져서 그를 보호해주고, 그에게 충성스러우면서 위협이 되지 않았던 사람이었다.
헬렌 듀카스는 아인슈타인이 심장 감염으로 침대에 누워있던 1928년에 비서로 들어왔다.
엘자는 그녀의 언니를 알고 있었다.
그녀의 언니는 유대인 고아원을 운영하고 있었고, 엘자는 그곳의 명예회장이었다.
엘자는 듀카스가 아인슈타인을 만나기 전에 먼저 면담했으며, 듀카스가 믿을 만하고 더 정확하게 모든 면에서 안전하다고 느꼈다.
그녀는 듀카스가 아인슈타인을 만나기도 전에 일자리를 제안했다.

1928년 4월 서른두 살의 듀카스가 아인슈타인의 병실로 들어섰을 때 그는 손을 내밀고 웃으면서 “여기 늙은 아이의 시신이 있다”고 말했다.
그 순간부터 1955년 그가 사망할 때 자신이 사망할 때인 1982년까지 한 번도 결혼한 적이 없었던 듀카스는 그의 시간, 사생활, 명성 그리고 훗날에는 그의 유산을 맹렬하게 지켜냈다.

외부의 입장에서 듀카스는 단순한 비서가 아니라 아인슈타인의 사나운 개처럼 보였을 수도 있다.
아인슈타인은 그녀를 자신의 작은 하데스 왕국을 지키는 경비견인 케르베로스라고 불렀다.
그녀는 언론인이 다가오지 못하게 하고, 그의 시간을 낭비하게 만들 것으로 생각되는 편지는 그에게 전해주지 않았으며, 그녀가 사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는 문제를 철저하게 덮어주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듀카스는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