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우의 <뭉크, 쉴레, 클림트의 표현주의>(미술문화)에서
쉴레, 감히 자위행위를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순수미술을 만화처럼 왜곡시킨 사람으로 말하자면 쉴레를 따를 자가 없을 것이다.
표현을 위해서라면 그는 자신의 드로잉이 만화가 되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화가라면 대상의 외관을 변형시킬 때 이를 추하게 나타내기보다는 이상화시키는 것이 일반이지만 뭉크와 쉴레는 그런 태도를 대상의 진실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두 사람은 사물의 밝은 면 못지않게 어두운 면도 드러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뭉크와 클림트보다 27-8년 후에 태어난 쉴레에게서 이른 표현주의 그림을 발견하기는 불가능하지만 1910년에 그린 <자화상>은 두 사람과는 전혀 다른 비이성적인 표현주의 그림이라 할 수 있다.
표현주의의 선구자는 아니더라도 그가 그린 그림에서 표현주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볼 수 있다.
표현을 위해서라면 관람자 앞에서 감히 자위행위를 마다하지 않을 정도로 쉴레는 자신의 전부를 회화의 재단에 바쳤다.
1911년 이후에 그린 그림들은 표현주의가 아니면 보여줄 수 없는, 즉 표현주의가 마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주제들을 보여주고 있다.
쉴레의 <자위행위하는 자화상>의 경우
그는 금기시하는 성에 대한 표현을 통해 본능이 결코 부끄러운 것이 아님을 주장한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자위행위를 경험하는가!
이런 보편적 행위를 추하다고 비난하는 것은 자신을 속이는 일이다.
사람들이 쉴레의 그림을 춘화로 여기지 않는 이유는 진실이 표현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