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갱은 퐁타방에서 돈이 필요할 때면 

김광우의 <성난 고갱과 슬픈 고흐>(미술문화) 중에서
 

반 고흐와 고갱 두 사람은 가난 속에서 화가로서의 길을 가야 했는데 파리화단에서 입지를 마련하지 못하는 데다 가난 때문에 시골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반 고흐는 파리에서의 생활을 견딜 수 없어 1888년 2월 자신이 '빛의 왕국'이라고 명명한 아를Arles로 떠났는데 같은 달 고갱도 파리를 등지고 브리타니Brittanu와 남서쪽 해안에 위치한 퐁타방Pont-Aven의 작은 마을에 둥지를 틀었다.

아를과 마찬가지로 퐁타방도 지역적으로 종교적 정체성을 찾는 사람들로 종교적 재활의 동향이 일고 있었는데 이는 1870년대 프랑스의 변방 지역에서 흔히 있던 일이었다.
두 사람 모두 아를이나 퐁타방 같은 곳에 예술가들을 위한 공동체를 만들기를 희망했다.

이 시기에 두 사람의 경제작 뒷받침을 담당한 사람이 테오였다.
그는 형 반 고흐에게 매달 혹은 보름 또는 매주 생활비를 송금했는데 한 달 평균 200프랑에서 300프랑을 송금했다.
고갱에게는 매달 작품 한 점을 받고 150프랑씩 지불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고갱은 퐁타방에서 돈이 필요할 때면 과거 직장동료이자 아마추어 화가 에밀 슈페네케Emile Schuffenecker와 젊은 화가 메이어 드 한Meyer de Haan으로부터 돈을 빌려 썼으므로 테오가 매달 지불하는 150프랑은 그에게 매우 요긴했다.
테오가 고갱에게 형과 함께 아를에서 지내도록 한 것은 형이 고갱을 좋아했기 때문이기도 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고갱의 경제적 어려움을 도와주리기 위해서였다.
이처럼 반 고흐와 고갱은 테오의 도움을 받으며 화가로서의 성공을 향해 달려야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