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도덕, 정의는 이제 종말에 와 있다

 
어제 반 고흐에 관해선 이야기를 많이 했는데 고갱에 관해선 별로 이야기가 없었지요?
아쉬운 부분입니다.
고갱에 관해 몇 꼭지 올려서 발란스를 맞추지요.

1890년대를 미술사학자들은 부르기 편하게 후기인상주의라고 합니다.
후기post는 단지 after란 뜻으로 후기인상주의는 인상주의의 종료를 알리는 것 외에 특별한 말은 아닙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모더니즘 이후라는 것 외에 별로 그 의미가 없듯이 말이지요.

후기인상주의에서 반 고흐와 고갱의 미학이 두드러지는 이유는 두 사람이 우정이 두터웠고 함께 아를에서 작업했기 때문이 아니라 두 사람을 상징주의로 분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제도 말했지만 반 고흐의 경우 성경책을 돌아가신 아버지를 상징했다던가, 자신이 즐겨 앉던 의자와 고갱이 즐겨 앉던 의자를 그려서 두 사람을 상징했다던가 등등 말입니다.
고갱이 자화상을 그리면서 자신을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의 주인공 장발잔에 비유했다는 건 어제 이야기했지요?
그것도 상징주의라 할 수 있습니다.

상징주의는 원래 문학의 경향으로 1886년 상징주의 작가들이 선언문을 발표했는데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종교, 도덕, 정의는 이제 종말에 와 있다.
노이로제, 히스테리, 최면술, 마약중독, 학문적 애바위행위 등은 모두 사회적 진화의 증세들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증세가 처음 언어로 나타났다.
달라진 요구사항들은 새롭고 다양하며 미묘한 아이디어들로 해소되었다.
이 점을 미뤄보더라도 정신적이고 신체적인 감각의 다양함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언어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게 된다.

퇴폐주의 시대에 살면서 반 고흐와 고갱은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다양함을 표현하기 위해 상징주의를 받아들였습니다.
당시 노이로제란 말이 유행어처럼 사용되었고 많은 사람이 문명의 질주에 적응하지 못해 신경과민을 일으켰으며 병적 증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런 현상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적용됩니다.
빠르게 질주하는 컴퓨터 문화가 정신없게 만들고 많은 네티즌의 글에서 노이로제 증상을 봅니다.

여하튼
이런 노이로제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반 고흐는 리처드 바그너의 음악을 들었습니다.
그는 바그너의 음악을 들으면 강렬한 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정신적으로 안정과 평화를 찾을 수 있다고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적었습니다.
그는 회화를 음악의 수준으로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면 관람자들이 정신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거라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화가는 현대인이 겪는 노이로제 증세를 치료할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이는 반 고흐의 미학적 특징이자 고갱에게도 적용됩니다.
반 고흐는 고갱에게 보낸 편지에 다음과 같이 적었답니다.

오, 나의 다정한 친구, 미학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건 베를리오즈와 바그너가 작곡한 음악과도 같아서 마음의 상처를 입은 사람들에게 위안이 된다네.
자네와 나 그리고 몇몇 사람이 이 점을 알 뿐이라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