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러스킨John Ruskin(1819~1900)


존 스튜어트 밀은 자신의 그룹을 제외하면 존 러스킨이 당시 유일하게 독창적인 영국의 사상가라고 말했다.
영국의 비평가, 미술 이론가 러스킨은 예술가를 영감 받은 예언자와 교사로 보고 예술의 위대함은 신이 만든 인간의 마음을 표현하는 데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고딕 양식의 부활을 주창했지만, 장식에 있어서는 전통을 거부했다.
그는 예술과 건축은 신이 창조한 인간의 경이로움과 기쁨을 반영해야 한다고 보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자유로운 영감을 받은 자연주의적인 형식이 요구되며 고딕이야말로 진정 적합하다고 했다.
그는 장식을 신의 계시를 받은 경이로움을 관조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았으며, 자연 형태의 재현에 기초를 두었고 장식의 표현 가치에 대하여 매우 개인적인 기준을 도입했다.
그가 고딕을 극찬한 것은 각 개체의 미묘한 특징을 명확하게 하는 우아하고 풍부한 구성을 지닌 고딕 디자인의 특징 때문이었다.

러스킨의 아름다움 그 자체를 위한 미의 숭배가 예술을 위한 예술의 옹호자들과 관련을 맺었지만, 그의 인생 후반기의 경제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한 의문의 증대와 사회 개혁에 관한 강한 관심은 그가 사회적인 도덕성의 문제와 분리된 예술의 자립에 관한 주장을 받아들이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예술을 노동자들의 일상생활과 연결하는 그의 사고는 윌리엄 모리스의 관점과 관련이 있다.
예술을 ‘국민적 미덕의 가시적 신호’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예술의 도덕적 기능을 강조하는 그의 태도는 때로 미학과 비평에서 ‘도덕적 오류’의 명백한 예로 간주되어 왔다.
러스킨은 완강하고 근시안적으로 오래된 장인 정신을 대신하는 산업혁명의 효과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는 인간이 이 세상에서 해야 할 모든 것 가운데 가장 위대한 것은 무언가를 보는 것이고 또 본 것을 솔직하게 말하는 것이라고 하여 예술의 본질적 목적이 진실에 대한 사랑임을 적극적으로 강조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