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지호는 광주에 정착하여
오지호는 광주에 정착하여 그곳 풍경을 그리던 중 1960년 4·19학생의거가 자유당 독재정권을 붕괴시켰고, 민주당이 들어섰지만 이듬해 5·16군사쿠데타가 일어나 정치·사회 모든 분야에 구조적인 재편성이 뒤따랐다.
오지호는 4·19때 한 사건의 관련 혐의로 체포되어 일 년 동안 옥고를 치러야 했다.
정신적·신체적 고통으로 쇠약해졌고 그의 화면은 전과는 달리 어둡고 칙칙한 색조가 나타났으며 조형적 긴장감도 완화되었다.
1964년에 그린 <열대어>는 유영하는 붉은색의 열대어 한 마리를 보고 그린 것이지만 구체적인 형상이 없는 완전 추상작품을 보는 듯하다.
열대어 주변에는 짙은 청색의 원이 둘러져 있고 배경이 거친 붓질에 의한 적갈색면으로 구성되었다.
세부적인 묘사를 생략하고 형태와 색질의 대비로 마티에르의 효과를 강조함으로써 추상의 의지를 현저하게 드러낸 작품이다.
조형적·기법적 실험으로 보이는 이 작품은 그의 작품들 가운데 특이하다.
그는 1968년에 『현대 회화의 근본 문제』를 출간했고, 국전에 심사위원으로 혹은 초대작가로 참여하면서 화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다.
그는 1982년 12월 25일 77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현대 회화의 근본 문제』에 적었다.
“나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 사람의 화가다.
그런데 이 땅에 생을 받았다는 이유로, 또 내가 내 자신이 믿는 바를 굽힐 줄 모르는 내 생래生來의 성격 때문에, 나는 내 예술과는 생판 동떨어진 다른 일들로 많은 인과 욕을 겪었다.
사변 전후의 일들도 그런 것들 중의 하나다.
예술과는 물론 세상의 모든 것들과 인연이 끊긴 몇 해 동안의 그 막된 생활의 뒤, 1953년 초 겨울에 나는 지금 살고 있는 이 초옥에 들게 되었다.
- 여식 하나를 데리고 이 집이 자리 잡고 있는 당시의 지산동 - 비어 잇는 논바닥, 파랗게 싹들이 돋은 보리밭, 복숭아나무 과수원들, 그 주위를 둘러 있는 산봉우리들!
그때, 봄볕처럼 따뜻한 이 산골짜기는 몸과 마음이 한 가지 상처투성이가 된 나를 어머니의 품처럼 따뜻이 안아 주었던 것이다.
진정!
오래간만에 얻은 마음의 평온이었고, 생의 희열이었다.
윗글은 그때, 내 자연에 대한 뼛속에서 스며 나오는 그 고마움의 조그만 표현이었던 것 같다.
내가 일 년만 있다가 온다던 개성에 십 년을 살았고, 사변 후 오늘까지 이곳에 머무르고 있고, 또 내 태생의 땅인 동복에, 40년 전에 내가 지은 집을 지금도 그대로 두고 있는 이유의 태반은 내가 사는 그 집과 그 집 주위의 자연 - 그 산과 들과 내와 풀과 나무들에 든 그 정 때문이다.
1968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