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일본화운동

관전과 이과전 모두에 불만을 품은 화가들에 의해 전개된 미술운동이 소위 말하는 전위미술이다.
일본 최초의 전위미술은 1920년대인 다이쇼大正 말기에 일어났다.
1920년경부터 무정부주의와 마르크스주의가 지식인들 사이에 널리 알려졌고, 미술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 전후 이런 사상을 배경으로 한 미래주의, 다다주의, 러시아의 구성주의, 독일의 표현주의 등의 미술운동이 전개되었다.
전위예술가들은 과격했으며 혁명을 추구했으므로 대부분 프로레타리아 미술운동에 가담했다.
그러나 이 운동은 7, 8년 존속하다가 정부의 탄압으로 소멸되었다.
1930년대에 들어서 이과전이 여전히 의욕적인 신인들을 화단에 소개하는 역할을 했지만 신선함을 상실해 갔고 이런 시기에 새로운 단체전으로 주목을 받은 그룹이 1926년에 설립된 ‘1930년 협회’와 좀더 후에 등장한 ‘독립미술협회’였다.
야수주의와 에꼴 드 파리 화풍의 영향을 받은 이들 그룹의 한때 활발하게 활약했고 우리나라 화가들로는 구본웅, 김만형(1916~84), 송혜수(1913~), 오점수(오지호의 다른 이름), 김응건, 임응구 등이 이들 단체전에 출품했다.

특기할 점은 1930년대 제전, 이과전, 혹은 독립미술협회전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소위 말하는 신일본주의로 일본식 서양화에 대한 집착이었다.
서양의 모방 일변도에서 벗어나 일본적 정감과 풍토를 표현하려는 의식의 발로로서 국수주의적 사회의 요구이기도 했다.
오카쿠라 덴신이 1900년에 이미 강연을 통해 ‘신일본화운동新日本畵運動’의 이념을 여섯 가지로 집약했는데, 전통을 존중하는 가운데 서양의 양식을 충분히 이해하고 응용하여 모방이 아닌 새로운 창작의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는 논지였다.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1. 일본의 전통화법 또는 서양화법의 어떠한 기법에 의하든 그것을 완전히 소화하고 흡수하여 적어도 모방한 것은 아니어야 한다.
특히 일본화법의 기초교육을 받은 화가는 양식과 기법에 사로잡히지 말고 감정의 솔직한 표현을 마음에 둘 것을 요한다.
2. 고인명가古人名家의 화법에 정통할 것.
3. 생명감이 화면에 약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
4. 화법을 완전히 수득修得해야 비로소 보다 독창적으로 자기표현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
5. 작화作畵의 품격을 존종할 것.
6. 옛날 명품, 특히 전통 유세회의 연구 속에 한층 진보적인 발전이 가능하다는 사실.  

‘신일본화운동’은 훗날 신일본주의를 주장한 독립미술협회의 고지마 젠자브로兒島善三郞(1893~1962), 수다 구니타로須田國太郞(1891~1961) 등에게 일본적 서양화에 대한 정체성 논의가 이루어지게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여태까지 추종하던 프랑스 미술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 일본의 아름다운 풍토와 성정을 표현하기 위해 일본 고유의 표현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런 일본적 서양화에 대한 관심은 1935년 이후 전 화단으로 퍼져나갔다.
일본 화가들은 서양의 양식을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특유의 정서와 관습을 표현해야 한다는 자의식을 갖게 되었었으며 이런 자의식은 국수주의적 사회 분위기와 다분히 관련이 있었다.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이를 규탄하는 국제연맹을 1933년에 탈퇴한 후 더욱 더 침략의 의지를 드러냈다.
그러므로 1930년대의 미술은 이런 군국주의 상황 아래서 전개될 수밖에 없었다.
1930년대 중반 또 다른 전위미술운동이 일어났는데, 이과전과 독립미술협회가 권위 위주로 달라지고 세력을 두고 운영의 갈등을 드러내자 화가들은 대규모의 단체전보다는 소규모의 동인전을 선호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긴자銀座의 화랑가를 중심으로 전시활동을 폈다.
이들은 대부분 미술학교를 갓 졸업했거나 신인들이었지만 비평가들이 잡지를 통해 이들의 동향을 소개했다.
이들은 유럽의 구성주의와 초현실주의에 호감을 갖고 있었으며 이들의 대표적인 두 그룹이 1937년에 창립한 기하적 추상을 추구한 ‘자유미술가협회’와 2년 후 창립된 초현실주의 경향의 ‘미술문화협회’였다.
앞서 언급한 전위그룹에 비해 정치적으로 비교적 온건하며 순수 추상을 추구한 자유미술가협회는 자유라는 명칭이 군국체제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1940년에 ‘미술창작가협회’로 명칭이 바뀌는 등 곡절을 겪으며 1944년까지 여덟 차례에 걸쳐 전람회를 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