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체주의Cubism

입체주의의 몇 가지 기법과 발견은 20세기의 다양한 미술 유파의 기법에 지속적으로 계승되었는데, 이 운동의 핵심은 1907년경부터 1914년에 걸쳐 형성되었다.
입체주의라는 용어는 마티스에 의해 큐브처럼 생겼다고 잠시 언급된 후 비평가 루이 보셀이 쓴 글에서 유래했다.
야수주의란 명칭을 만들어낸 장본인 보셀은 1908년 11월 14일자 『질 브라 Gil Blas』 신문에 실린 브라크의 전시회에 관한 비평에서 ‘정육면체 cubes’와 ‘이상한 정육면체 bizarreries cubiques’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인상주의 그리고 야수주의와 마찬가지로 입체주의도 경멸에서 비롯된 명칭이었다.

입체주의 작품에서는 역사적·일화적·감각적·정동적인 것을 불문하고 주제 자체에 대한 관심을 거부하고 묘사하는 내용은 좁은 범위의 정물에 한정시켰다.
심지어 이 범위에서 묘사된 사물조차 샤르댕처럼 감정이입이나 개성의 암시 없이 표현되어 사실주의 그림이 형태를 구성할 때의 소재 같은 것이었다.
대기와 빛의 표현은 그 밖의 인상주의적 전통과 함께 단호히 배제했다.
또한 색채의 감각적 매력에 무관심하여 극히 일부의 고유색만을 사용했으므로 색은 종종 모노크롬에 가까웠다.
대개 직접적인 감각에 호소하는 요소는 묘사된 주제이건 그림 자체이건 지적 원리의 우위 아래 종속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율동적인 선의 서정성과 그라데이션은 사라지고 기하적 형태가 중시되었다.
또한 동적인 표현도 포기했는데 이것은 훗날 미래주의의 공격을 받는 이유가 되었다.

중요한 점은 자연주의적인 원근법과 삼차원의 환영적인 회화 공간 대신, 겹치고 교차해서 만나는 반투명한 몇몇 평면이 조금씩 후퇴하면서 얕은 회화 공간을 열어 가는 새로운 원근법이 사용된 것이다.
입체주의자들의 주요 목적은 이차원적 캔버스를 환영을 일으키는 삼차원의 회화 공간으로 전환시키지 않고 이차원 평면에 대상의 입체성과 부피를 묘사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어떠한 대상을 묘사하려면 특정 시각과 장소에서 보이는 부분적인 모습 대신, 대상에 관해 알고 있는 사실을 그리는 것이 필요했다.
이 목적을 위해 대상은 다양한 모습으로 동시에 묘사되는데, 사실 사물의 형태는 많은 기하적 평면으로 분해되고 그러한 평면이 다양한 관점에서 동시에 재구성됨으로써 새로운 하나의 형태로 합쳐지는 것이다.
이 점에 관한 한 입체주의는 그들의 주장대로 사실적이었다.
단지 그것은 시각적이고 인상적인 사실주의라기보다 개념적인 사실주의였다.
입체주의는 자발적인 시각이라기보다는 지적으로 처리된 시각의 결과였다.

입체주의의 출현에 가장 중요하고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아프리카인의 조각과 세잔의 후기 작품이다.
아프리카인 조각의 영향은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Les Demoiselles d’Avignon>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이 작품은 입체주의 회화의 원천으로 간주된다.
그것은 화면 오른쪽에서 복수의 평면이 옮겨져 맞붙고 중앙 인물의 얼굴은 정면과 측면의 동시 결합을 보여주며 중앙 아래족의 정물 모티프는 시각적이라기보다 논리적인 원근법에 의해 묘사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브라크는 세잔의 후기작에서 보이는 평탄한 회화 공간과 분석적 각도의 치밀한 평면 구성에 주로 영향을 받았다.
1907년 살롱 도톤에는 1906년에 타계한 세잔의 회고전이 열렸으며, 같은 해에 에밀 베르나르에게 보낸 편지가 발표되었다.
이 편지에서 세잔은 “자연을 원통형, 구형, 원뿔모양으로 다루어야 하며 모든 것을 원근법 속에 넣어야 한다.
즉 물체와 평면의 각 측면이 하나의 중심점을 향해 모이도록 해야 한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