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우의 <워홀과 친구들>(미술문화) 중에서
 

인기인을 찾아서


1972년 워홀은 집세가 오르자 작업실 ‘공장’을 떠나기로 하고 그곳에서 멀지 않은 860 브로드웨이 3층을 세 얻었다.
그가 세든 3층은 1,000평방미터로 아주 넓었으며 방문객들은 비디오 카메라로 감시를 받는 등 보안이 철저해 마음에 들었다.
《인터뷰》 잡지일도 넓은 곳에서 할 수 있게 되어 다행스러웠다.
《인터뷰》가 아직은 이익을 주지 않았지만 3년 전 창간했을 때에 비하면 구독자 수가 배로 증가했다.
직원도 세 명에서 이제 열다섯 명으로 늘어났으며, 잡지의 후원자 가운데는 10달러를 내는 사람도 있었지만 더러 100달러를 내는 사람도 있었다.
《인터뷰》의 편집인 밥 콜라첼로는 재능 있는 사람이었다.
1973년 3월호는 48페이지에 달했고 광고가 11페이지였으며 발행부수는 5만 5,000부에 이르렀다.
워홀은 잡지의 취지를 “새 얼굴과 새 인재를 찾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워홀은 새로운 작업실로 온 후 실크스크린 사업에 전념했는데 그야말로 유명인들의 초상화들을 찍어내는 일이었다.
연예인으로는 라이자 미넬리, 폴 앵카, 믹 재거, 패션계 인물로는 이브 생 로랑, 디아네 폰 푸르스텐버그(그림 163), 폴스톤, 엘렌느 로샤, 캐롤라이나 헤레라의 초상화를 제작했다.
정당으로부터 의뢰받은 정치가들의 초상화도 많았으며, 대통령 제네랄드 포드와 지미 카터, 상원의원 테드 케네디 등의 초상화와 외국 정치가들의 초상화도 제작했다.

워홀은 자신이 찍은 사진을 이용하여 초상화를 실크스크린하기 좋아했지만 사진이 없을 때는 신문이나 잡지에 소개된 사진을 이용했다.
색을 사용하면서 미니멀리즘 예술가 엘스워스 켈리와 프랭크 스텔라의 회화방법을 응용하기도 했다.
거친 붓질로 표현주의적 요소가 힘있게 나타나도록 했으며,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의 빠른 붓놀림을 응용했는데 드 쿠닝의 방법이 엿보이기도 했다.
비록 실크스크린이지만 워홀은 아크릴이 젖었을 때 손가락으로 쓱쓱 문질러 터치가 나타나게 함으로써 직접 손으로 그린 듯한 느낌을 주어 자신이 진지한 태도로 제작했다는 것을 구매자들이 알아주기 바랐다.
그의 초상화에는 모델의 정신상태가 얼어붙은 것처럼 나타났는데 미술사학자 로버트 로젠블럼은 워홀의 그러한 의도를 바로 알아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