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의 <일곱 가지 죽을 죄와 네 종말이 있는 테이블 커버>
보스의 종교관은 <일곱 가지 죽을 죄와 네 종말이 있는 테이블 커버>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인간의 한계 상황과 운명이 순환적 이미지들로 나열되어 있다.
순환적 이미지들을 병렬하는 것은 중세에 있었던 일로 신앙수양, 도덕적·과학적 내용을 설명과 더불어 소개했으며 계절, 노동, 생일 관련 별자리를 표시한 것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15세기에 출간된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 De civitate Dei(City of God)』에는 하나님의 백성이 마땅히 지켜야 할 ‘일곱 가지 미덕’과 이에 반하는 ‘일곱 가지 죽을 죄’가 그림으로 묘사되어 바퀴 형태로 병렬되어 있으며 이해를 돕는 글이 아래 적혀 있었다.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독일 판화에는 도상적 형판이 있는데, 보스 작품과 유사하다.
<일곱 가지 죽을 죄와 네 종말이 있는 테이블 커버> 원형 중앙에 ‘하나님의 눈’이 있고 동공에는 석관에서 모습을 일으키고 드러낸 부활한 그리스도가 십자가 처형 때 창에 찔린 상처를 관람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석관 아래에는 반원형으로 글이 적혀 있다.
"조심하라, 조심하라, 하나님께서 보고 계신다."
하나님이 일곱 가지 죽을 죄의 상황을 바라보고 있다.
죄명이 라틴어로 그림 하단에 각각 적혀 있다.
안주인이 식탁으로 나른 많은 음식물을 탐욕스럽게 먹어치우는 남자는 ‘폭음폭식 Gula’의 죄를 묘사한 것이고 난로 앞에서 졸고 있는 비대한 몸집의 남자는 ‘나태 Acedia‘를 의인화한 것이다.
나태한 자의 종교적 의무에 대한 불이행은 왼편으로부터 방 안으로 들어오는 여인의 로자리오를 들고 있는 모습에서 알 수 있다. 텐트 속 몇 쌍의 연인들은 ‘색욕 Luxuria’을 의인화한 것이다.
화려한 보닛을 쓴 악마가 거울을 들고 있는 것도 모르고 허영에 찬 여자가 새 모자를 쓰고 좋아하는 장면은 ‘자만 Superbia’을 묘사한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분노 Ira’는 술집 앞에서 다투는 두 남자로, ‘탐욕 Avaricia’은 뇌물을 받는 판사로, ‘시기 Invidia’는 거절당한 구혼자가 노려보는 것으로 각각 묘사되었다.
드라마의 한 장면과도 같은 이런 장면들은 네덜란드 전원이나 구체적인 가정용품들이 있는 실내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런 죽을 죄의 순서는 6세기 교황 대 그레고리가 정한 것으로 그 후 전통이 되었으며 보스가 전통을 좇아 시각화했다.
<일곱 가지 죽을 죄와 네 종말이 있는 테이블 커버>에는 미숙한 부분이 보여 보스의 초기 작품으로 알려졌지만 후대 학자들이 작품에 나타난 의상을 관찰한 결과 1490년경 이전에는 유행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져 1500년을 전후 한 중기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간주한다.
일부 학자는 인물들이 땅딸막하고 서투르며 평편하고 외곽선이 경직되어 있는 데다 색채가 너무 밝아 보스의 다른 작품들과는 크게 차이를 보여 그의 작품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독창적 디자인은 보스가 고안했더라도 작업장에서 조수들이 완성시킨 것 같으며 ‘탐욕’과 ‘시기’에서의 수준 높은 인물 묘사만큼은 보스 자신이 그린 것으로 짐작된다.
세월이 오백 년이나 지났으므로 부분적으로 부식되었고 누군가에 의해서 덧칠된 데다 반복해서 복구했으므로 원래 솜씨가 사라졌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보스의 솜씨가 어디서 어디까지이고 어느 부분을 조수들이 그렸는지 확연히 구별할 수는 없더라도 이 작품에는 역동적 요소와 인간의 심리가 잘 나타나 있다.
구성에 있어서는 시계 방향으로 병렬시키는 건 전통 양식이었다.
14세기 영국 프레스코화에서도 이와 유사한 원형이 발견된다.
죄의 장면들을 원형으로 병렬하는 건 세상에 만연하는 일반 죄에 대한 분류이지만 보스는 중앙에 ‘하나님의 눈’을 삽입하여 하나님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죄로 변형시켰으며 죄의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모티프를 강조했다.
<일곱 가지 죽을 죄와 네 종말이 있는 테이블 커버> 위 띠 안에는 라틴어로 구약성서의 구절이 적혀 있다.
"이 생각없는 민족, 철없는 것들, 조금이라도 셈이 슬기로왔더라면 알아 차렸을 터인데!(신명기 32:28~29)"
"그들에게 내 얼굴을 보이지 아니하리라. 그리고 결국 어찌 되는가 두고 보리라.(신명기 32:20)"
신을 거울에 비유하는 건 중세 문학에서 흔히 발견된다.
독일 인문학자 야곱 빔펠링은 에르푸르트Erfurt 교회에 적혀 있는 ‘하나님께서 보고 계신다’라는 말이 젊은 자신에게 감동을 주어 좀더 경건한 삶을 살게 만들었다고 훗날 술회했다.
보스가 그림 중앙에 ‘하나님의 눈’을 그려넣은 건 이 같은 효과를 노리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네 귀퉁이에는 원형의 작은 그림들이 그려져 있으며 죽음, 최후의 심판, 천국, 지옥이 각각 묘사되어 있다.
네 종말은 인과응보로서 보스 당시 네덜란드인에게 익히 알려져 있었다.
네 종말은 네덜란드 수도원에서 말년을 보낸 카르토지오 수도회의 수사 드니의 저술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그의 저서는 북유럽에서 대중적 인기를 얻었고 1477년 네덜란드어로 번역되었다.
이 책은 1500년 이전에 이미 46차례에 걸쳐 재판되었으며 네덜란드어로 재판된 것만도 무려 13차례나 되었다.
네 원형화에는 미숙한 부분이 많아 보스가 직접 그린 것이 아니라 조수들이 그렸을 것으로 짐작된다.
일곱 가지 죽을 죄를 범한 자들이 각각 처벌을 받는 지옥의 장면은 당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머리에 떠올릴 수 있는 묵시록적 환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