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갱의 ‘유쾌한 날’>

김광우의 <성난 고갱과 슬픈 고흐>(미술문화) 중에서 

 

<유쾌한 날 Nave nave mahana(Jour delicieux)>에는 많은 인물이 등장한다.
왼편 화면 앞에 아이가 앉아 있고, 그 뒤로 멀리 여인이 앉아 있으며, 오른편 뒤에도 땅만 바라보고 있는 여인이 있다.
중앙에는 다섯 여인이 다양한 포즈를 하고 서있다.
튜닉, 혹은 파레우를 입는 중앙의 여인들은 고대 그리스의 파르테논 릴리프에서 볼 수 있는 여사제들의 모습을 상기시키는데, 고갱은 이런 사진을 갖고 있었다.
고갱이 타계하고 어느 정도 세월이 흐른 뒤 이 작품을 리옹의 미술관이 구입했으며 프랑스 미술관으로는 처음이었다.

일부 학자는 <유쾌한 날>을 산드로 보티첼리의 <봄 Spring>과 관련짓기도 한다.
보티첼리의 작품에서 여인들은 각각의 포즈를 취하고 있으면서도 회화적으로 상호관련이 있는 것처럼 고갱의 작품도 이런 식의 구성임을 강조한다.
퐁타방의 고갱의 아틀리에에는 보티첼리, 프라 안젤리코, 마네, 퓌비 드 샤반, 일본 화가 우타마로 등의 작품을 모사한 것들이 벽에 걸려 있었으며, 고갱은 중세 태피스트리와 같은 보티첼리의 <봄>을 특히 좋아했다.

고갱은 잘못 그려진 캔버스를 재활해 사용했다.
<두 번 다시, 오 타히티 Nevermore, O Taiti>의 경우 풍경화가 실패하자 물감이 두텁게 칠해진 윗부분을 잘라내고 캔버스를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으므로 그가 의도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 기다란 캔버스가 되었다.
여기에 침대에 길게 누운 누드를 그렸는데, 1892년에 그린 <저승사자>와 유사한 구성이지만 여인이 좀 더 우수에 젖어 있고 공포에 질린 모습으로 상징주의 작품이 되었다.
침대 위 누드 뒤로 누드를 바라보는 새가 한 마리가 보인다. <저승사자>에서의 모델은 테하마나이지만 이 작품의 모델은 현재의 동거녀 파후라이다.
침대는 고갱이 상상해서 그린 것으로 짐작되며 두 작품 모두에서 침대 머리가 둥근 형태인 것은 특기할 만하다.
빛이 대각선으로 위에서 아래로 비치는 조명을 사용했으며 거기에 어울리는 몸의 섬세한 명암을 묘사했다. 그는 단순히 미개인 누드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려고 했다.
의도적으로 침대 커버와 배경을 꽃으로 장식하여 누드의 아름다움을 더욱 드러내려고 했다.
이 작품을 볼라르가 고갱 생전에 작곡가 프레데릭 델리우스에게 팔았다.


고갱은 악마숭배 사상과 원시주의 종교에 관심이 많았으며, 원주민들의 인생을 그들의 악마숭배 사상과 종교를 통해 이해하려고 했다.
<신상 Rave Te Hiti Aamu(The Idol)>도 이런 노력의 일환 가운데 하나이다.
한때 평론가들은 이 작품에 나타난 신상이 원주민들이 섬긴 신 티키 또는 타카이라고 믿었지만 나중에서야 고갱이 창작한 이미지인 줄 알게 되었다.
괴물처럼 생긴 신상의 얼굴은 산송장과도 같은 얼굴에 젖가슴을 드러낸 여인의 몸으로 앉아 있다.

<신상>은 고갱의 자포자기와 재활하려는 의지가 동시에 나타난 상징주의 작품이다.
그는 자신을 야만인이라고 불렀는데, 자조적인 이 말은 알량한 유럽의 문명인들 특히 파리 사람들에 대한 빈정거림이기도 하다.
고갱은 자신에게서도 발견되는 유럽인의 이기심을 추악한 것으로 인지하면서 원시문화를 통해 문명의 죄를 말끔히 씻어내기 바랐다.
그에게 있어 <신상>은 괴물의 모습이며 사람들을 파괴와 죽음에 이르게 하는 능력을 가진 존재인 동시에 사람에게 성을 부여하는 조화로운 신이기도 하다.

<꿈 Te Rerioa(The Dream)>은 1897년 2월 말과 3월 초에 신비로운 방 안에 있는 한 쌍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하단 왼편에 아기가 잠들어 있고 그 위로 고양이가 보인다.
방 내부 두 벽을 낯선 이미지들로 장식했는데 과거에 그린 그림과 조각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다. 벽의 이미지들은 평면적이기보다는 삼차원으로 릴리프와 같은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왼쪽 벽 하단을 동식물의 형태들로 띠가 되게 장식했다.
벽에는 남자와 여자가 끌어안고 있는 장면이 그려져 있고 남자는 방 모퉁이를 바라보고 있다.
아담과 이브를 묘사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두 사람 뒤로 보이는 벽에는 히나 여신의 이미지가 보인다. 벽에 그려진 이미지와 부부로 보이는 한 쌍과의 관계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꿈>이 아기의 것인지 부부의 것인지, 혹은 고갱 자신의 것인지 가늠되지 않는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아기가 잠자고 있는 요람인데 이것은 고갱 자신이 제작한 상상의 조각처럼 보인다.

<가난한 어부 Poor Fishman>는 <꿈>과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타히티의 아침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카누 옆에 남자가 무릎 꿇은 자세로 반으로 쪼갠 코코넛에 담긴 즙을 마시고 있고 남자 옆에 아기가 카누를 붙들고 배의 내부를 바라보고 있다.
카누 뒤로 여인은 해변에 누운 채 오른손에 든 과일을 막 먹으려고 한다.
이들 뒤 서쪽으로 무레아 섬이 보이고 노란색 바다 수평선에 떠오르는 해가 보인다.
카누가 대각선으로 화면을 양분하고 화면 앞에는 야자수와 남자의 팔, 몸체가 수직으로 구성되었다.
남자 옆에는 도끼가 놓여 있다.
타히티 어부의 페시미즘을 나타낸 그림으로 보라색, 파란색, 핑크색을 주로 사용하여 아주 화려해보이지만 울적한 느낌을 준다.

<가난한 어부>와 <꿈>에 등장하는 아기는 파후라가 낳은 고갱의 딸로 병에 걸려 곧 죽었다.
두 작품은 어쩌면 고갱이 상상한 가족의 모습으로 자신과 파후라를 모델로 한 상상화일 것으로 짐작된다.

<꿈>은 몽프레에게 보내졌고 몽프레는 표면이 조금 망가졌음을 고갱에게 알렸다.
무엇이 원인인지는 알 수 없지만 오랜 항해에서 선박 내의 공기가 너무 건조해 생긴 일이 아닌가 짐작된다.
캔버스를 여러 개 둘둘 말아 보냈기 때문에 서로 붙어서 생긴 손상이었을 것이다.
이런 손상은 반 고흐가 테오에게 보낸 작품에서도 발견된다. 유화가 다 마르기도 전에 급히 보내느라 일어난 손상이다.
<꿈>을 조르주 소데가 복원하기로 하자 고갱은 몽프레에게 복원할 때 캔버스 뒷면에 접착제를 사용하고 열을 가한 후 앞면의 물감을 눌러 캔버스에 부착되게 하라고 지침을 주면서 반 고흐가 준 작품을 자신이 그런 식으로 복원했음을 알려주었다.
그렇게 했는데도 균열이 남는다면 그거야 어쩔 도리가 없지 않느냐고 첨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