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는 『판단력비판』 제1부에서 건축의 예를 들었다
“누군가 나에게 내 눈 앞에 보이는 궁전을 아름답게 생각하느냐 하고 묻는다면, 물론 나는 그같은 사물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단지 그런 문제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한갓된 대상의 표상이 내 안에 즐거움을 동반하여 내가 그렇게 표상된 대상의 현존을 보는 데는 전혀 무관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사람들은 단지 알고자 할 뿐이다.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즉 어떤 것이 아름답다고 말하는 데 있어서 그리고 내가 취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내가 이런 표상으로부터 내 안에 만들어낸 것이지, 내가 대상의 현존에 의존하게 되는 그러한 요인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런 후 칸트는 다음의 설명으로 나아갔다.
“미에 대한 이런 해명은 그것이 일체의 관심을 떠난 즐거움의 대상이라고 했던 앞의 해명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어떤 대상에 관한 즐거움이 자기 자신에게 있어서 일체의 관심과 무관하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는 경우에, 그는 그 대상이 모든 사람들에 대해서도 즐거움의 근거를 내포하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고 판정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즐거움은 주관의 어떤 경향성에 (또 그밖의 어떤 숙고된 관심에도)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판단하는 사람은 자신이 대상에 몰두함으로써 얻어지는 만족에 관하여 완전히 자유롭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자신의 주관만이 의거하고 있는 개인적 조건들이 즐거움의 근거라고 생각할 수 없으며, 또한 그 때문에 즐거움이란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도 전제될 수 있는 그러한 것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라고 간주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그는 비슷한 즐거움을 누구에게나 요구할 수 있는 근거를 스스로 갖고 있다고 믿을 수밖에 없다.”
칸트는 이런 전제들로부터 다음의 사실을 논리적으로 추론해낸다.
“따라서 그는 아름다운 것에 관해서 이야기할 때 마치 미란 대상의 성질이며 또 그 판단은 논리적 판단(객관적인 것의 개념에 의해서 객관적인 것의 인식을 형성하는)인 것처럼 말할 것이다.
그 판단이 미감적 판단에 지나지 않으며 한갓 대상의 표상과 주관의 관계만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말이다.
그러한 까닭은 미감적 판단도 우리가 그 판단의 타당성을 누구에게 대해서나 전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리적 판단과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편성이 개념으로부터 나올 수는 없다.
왜냐하면 개념으로부터 쾌 혹은 불쾌의 감정으로 이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