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진리와 방법』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는 『진리와 방법 I Wahrheit und Methode』(1960)에서 칸트가 미에 대하여, 경험적이 아니라 경험 독립적으로 갖게 되는 관심에 관하여 묻는 것이라면, 이 물음은 감성적 쾌감의 무관심성Interesselosigkeit에 관한 근본적인 규정에 비하여 새로운 물음일 것이며, 취미의 입장으로부터 천재의 입장으로 이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동일한 이론이 취미와 천재 두 현상의 연관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고 본 가다머는 이 이론의 토대를 확고히 다짐에 있어 중요한 것은 ‘취미의 비평’을 감각주의적이고 합리주의적인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칸트가 감성적으로 판단된 것의 현존 방식에 관한 물음(가다머의 말로, 또한 그와 더불어서 자연미와 예술미의 관계에 관한 모든 문제 영역)을 아직 제기하지 않고 있음을 극히 당연한 것으로 보았다.
가다머는 “이러한 물음의 차원은 우리가 취미의 입장에 종지부를 찍게 될 때, 즉 우리가 우리 자신을 초월해서 생각하게 될 때 필연적으로 열리게 된다.
관심이 깃들인 미의 의미는 칸트 미학이 원래 갖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다.
관심이 깃들인 미의 의미는 자연과 예술에 대해 각각 다른 의미를 지닌다.
그리하여 자연미와 예술미의 비교는 바로 미학의 문제들을 전개시키는 작업이 되는 것이다”43-1)라고 했다.
칸트의 시스템은 한 이율배반이 비판 철학의 원리들에서 용해되는 것과 더불어 하나의 취미의 변증법이 있음을 요한다.
이것은 취미판단 안에서 개념들의 그 역할에 관한 역설로서 판단이 개념들에 연류되었다면 그것은 이성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어야만 하고 그것이 아닌 이성들에 의해 입증될 수 있을 것이다. 판단이 개념들에 연류되어 있지 않다면 그것은 그것인 불일치의 주제조차 될 수 없을 것이다.
해결책은 그런 판단들에 어떤 결정적인 개념도 연류되지 않고 오직 초감각적인 것의 그 비결정적인 개념이나 그 판단하는 주체와 마찬가지로 그 대상에 잠재하는 자체로서의 것이 연류되는 것이다.
고상한 것에 대한 칸트의 분석은 전혀 다른 근거로 진행된다.
본질적으로 그는 이런 만족의 종들을 이성 자체의 장려함의 느낌으로 설명하며 인간의 도덕적 운명에 비했는데 이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났다.
첫째, 우리가 자연에서 대단히 거대한 것(수학적인 고상한)을 직면했을 때 우리의 상상은 그것을 이해하는 과제 안에서 주춤거리며, 우리는 영원한 완전성을 향해 이르는 개념들의 이성의 우월을 알게 된다.
둘째, 우리가 압도적으로 강력한 것(동력적인 고상한)에 직면했을 때 경험적 우리 자신들의 연약함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가치를 대조에 의해서 다시금 도덕적 존재들로 알게 해준다.
이런 분석에서 그리고 자연에서의 미에 관한 그의 최종 비평에서 칸트는 어떻게 해서든지 그가 다른 수준에서 영역들의 자율을 위해 투쟁해온 그 영역들 사이의 연결인 한 수준을 향해 재정립하려고 했다.
그는 일찍이 선험적 이해의 개념들과 도덕성의 영역으로 한 것과 같이 여기서도 그 자체 발아래 있는 미적 기본들, 욕망의 독립과 지식 혹은 도덕성의 관심을 보여주기를 시도했다.
미에 대한 경험이 아직은 자연의 오브제들을 우리에게 그것들이 우주적 이성의 인공물들인 양 알 수 있는 것들로 보이는 것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리고 고상한 것에 대한 경험이 자연적 무형성과 두려움의 용도를 이성 그 자체로 찬양하게 만들기 때문에 마지막 분석에서 이런 미적 가치들이 하나의 도덕적 목적과 도덕적 요구, 인간 정신을 높이고 고상하게 하는 것을 만족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