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 대한 공리의 총체로서의 이성



순수형상으로서의 누스 혹은 이성이 자신을 사유하는 것이 자연이라는 말은 이성에 최고의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며, 순전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에 대한 사고에서 연유한 것으로 갈릴레이 이래 과학으로 규정된 자연의 의미에는 부합되지 않는다.
오늘날 이성이란 말은 어떤 담론이 대상을 인식할 경우 그 대상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담론이 고려할 규칙들이나 공리들의 총체나 체제를 의미한다.

장-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cois Lyotard는 대상 과학의 경우 관찰을 실행하고 반복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말하고자 하는 것에 대한 증거를 제시해야 하는데 실험실에서의 과학자들의 경험은 이런 것들과 거의 관련이 없다면서 그러나 이런 경험이 인류학적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함을 지적했다.
극히 추론적인 규칙들의 총체는 경험과는 무관하며, 경험을 소흘히 함으로써 담론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인식으로부터 멀어지게 될 뿐이라면서 예를 들어 정신분석에 의한 꿈의 해석은 이런 인지적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8)
그가 그렇게 말한 이유는 자료, 즉 꿈에 관한 이야기는 동일한 형태로 재현될 수 없으며, 따라서 보편적인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과학적 담론은 그 자체를 하나의 대상으로 고찰하는 담론들, 즉 넓은 의미에서 인식론들과는 구별되고 인식론들은 과학적 이성의 이념을 반성, 조작, 변용, 이데올로기화 한다.9)

과학에 대한 주석들이 갈릴레이시대 이래 많아지고 있으며, 오늘날 과학에 대한 사회학적 과학, 과학적 욕망과 같은 과학에 대한 정신분석, 과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역사 등이 존재하는데 리오타르는 이런 것들이 기술적·사회적·심리적·공상적인 경험적 변수들과 과학적 이성이 무관하지 않음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빈번한 혼동에도 불구하고 이런 의존성이 과학적 담론의 규칙체계보다는 오히려 그 내용과 연관된 것으로 보았다.10)
이런 규칙들의 지위에 관한 의문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그는 오늘날 과학적 이성에 관한 주석이 어떤 커다란 불확실성의 감정을 초래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이런 지위를 고찰하게 되면, “이런 규칙들은 주여져 있는가, 자연적인 것인가, 신적인 것인가, 필연적인 것인가?”11) 하는 인식에 관한 규칙들의 기원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는 이성의 이성 혹은 그 근거를 회의하는 것을 뜻한다.

리오타르는 말했다.

“이성의 이성은 순환을 범함이 없이는 제시될 수 없으며, 새로운 규칙들 혹은 공리들을 확립하는 능력은 이런 규칙들에 대한 필요가 감지되는 정도로 나타난다.
과학은 이성을 ‘드러내는 수단 moyen de reveler’이며, 이성은 과학의 ‘존재근거 raison d’etre’로 남아 있다.12)

그러므로 이성에 귀속된 지위는 필요와 수단의 변증법, 기원에 대한 동등성, ‘새로운 것’이라는 무한한 능력의 요청, 잉여권력에 의한 정당화라는 기술적 이데올로기로부터 직접 유래한다.”13)

리오타르는 인지적 이성이 인식 자체에서가 아니라 공공이나 공공의 위임들이 추구하는 목적에서 발견된다면서 인지적 이성의 이성이 사회적·경제적·정치적인 질서 속에 편입되어 있으며, 사람들은 과학이 더욱 많은 정의, 복지, 자유를 가져다줄 것으로 믿고 있음을 지적했는데 파스칼이 명확하게 구별한 대로 지식과 세계 사이의 야합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보았다.14)
이 같은 이성들 사이의 혼란은 합리적으로 변명될 수 없으며, “혼란은 보편언어une langue universelle, 즉 개별적 언어들les langages partticuliers 속에 확립되어 있는 모든 의미들을 수용할 수 있는 메타언어un metalangue에 대한 지극히 ‘근대적’인 기획에서 기인한다.
이성에 대한 이같은 회의는 과학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메타언어에 대한 비판, 즉 형이상학(그리고 또한 메타정치학)의 몰락에서 유래한다.”
그의 말에서 우리는 현재 철학적 사유의 처한 상황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