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뢰겔에 대한 평가


브뢰겔에 대한 평가는 그가 타계하기 2년 전인 1567년에 나왔다.
루도비코 기차르디니는 저서 『네덜란드 남부 전체에 관하여 Description of All the Low Countries』에서 브뢰겔을 가리켜서 보스의 “위대한 모방자 great imitator”라고 적었으며 그를 “제2의 보스”라 칭했다.
이듬해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도 브뢰겔을 보스와 관련지우면서 “뛰어난 마스터 excellent master”라 불렀다.
바사리는 두 화가의 년대기를 정확하게 기술하지는 못했지만
두 화가를 “유채로 풍경을 그리고, 환영과 기괴한 것들, 꿈 그리고 상상한 것들을 그렸다”고 적었다.
그는 브뢰겔이 풍경화와 환영적인 장면을 주로 그린 화가로 분류했다.
바사리는 리제의 도미니쿠스 람프소니우스Dominicus Lampsonius of Liege의 자료를 참조했는데,
람프소니우스는 브뢰겔이 타계한 지 3년 후인 1572년 자신의 친구가 제작한 브뢰겔의 초상화에 관해 다음과 같은 짧은 글을 적었다.
세상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이 새로운 히에로니무스 보스는 누구인가?
붓과 펜으로 보스의 혼이 있는 꿈을 모방할 수 있으며 그때나 지금이나 그를 능가할 수 있는 빼어난 예술성을 지닌 그는 누구인가?
옛 대가의 익살스러운 디자인 장르를 위한 예술에 몰두한 피테르는 어느 예술가보다 못하지 않다는 칭찬을 모든 곳에서 모든 사람으로부터 들을 것이다.
람프소니우스는 브뢰겔의 재능으로 펜놀림과 디자인을 꼽았으며 유화보다 이 둘을 장점으로 꼽은 건 매우 타당성이 있는 견해이다.
그는 브뢰겔이 익살스러운 디자인 장르에서 최고의 화가라고 높이 평가했는데,
이 장르는 일반적으로 등급이 낮게 취급되어 왔다.
브뢰겔의 친구 오르텔리우스는 보스를 언급하지 않는 가운데
브뢰겔이 “그려질 수 없는 많은 것들을 그렸다”는 말로 상상력이 매우 풍부한 화가라고 적었다.
그는 브뢰겔의 자연주의를 기원전 5세기 그리스 대가 유폼파스Eupompas에 견주면서 “다른 예술가들을 따르기보다 자연을 따랐다”는 말로 칭찬했다.
이와 유사한 칭찬을 반 만데르도 1604년에 발간한 브뢰겔 일대기에서 적었다.
그렇지만 기차르디니와 마찬가지로 바사리, 람프소니우스, 그리고 반 만데르 모두 브뢰겔을 보스의 모방자로 간주했으며 보스의 화풍을 따랐다고 적었다.
브뢰겔이 환영적인 주제와 자연주의 그림을 먼저 그린 화가는 아니더라도
현존하는 61점의 드로잉이 그가 초기 플랑드르 화가들 얀 반 에이크Jan van Eyck, 로히르 반 데르 베이덴Rogier van der Weyden, 그리고 보스와 견줄 만한 화가임을 입증해준다.
브뢰겔은 풍경화의 대가였다.
그가 가장 초기에 그린 풍경화로는 1552년에 그린 다섯 점이다.
이 시기 1551~52년 그는 안트베르펜 화가들의 길드에 소속되어 있었다.
많은 플랑드르 화가들과 마찬가지로 그도 이탈리아를 여행하면서 화가의 길을 걸었는데,
다섯 점은 그가 이탈리아로 여행하던 중에 그린 것들이다.
바사리가 지적한 대로 이 시기에 그는 이탈리아 화가들의 화풍을 배웠다.
다섯 작품을 살펴보기 전 그를 지도한 피테르 쿠케 반 알스트Pieter Coecke van Aelst가 1535년경에 제작한 <아이 시의 점령 The Capture of the City of Ai>을 볼 필요가 있는데,
이 시기의 브뢰겔의 작품에서 그의 영향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보스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사용해 그림을 그렸으며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쿠케의 방법은 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지만 브뢰겔에게 전수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아이 시의 점령> 왼편에 있는 나무는 쿠케가 풍경을 묘사하는 데도 재능이 있었음을 보여주며
브뢰겔이 이런 장르에 관심을 갖게 만들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보스와 브뢰겔에 대한 평가는 그동안 발표된 두 사람에 관한 수천 점의 글과 두 사람의 작품에 과한 수백 권의 책 그리고 수없이 많은 미술사학자들의 논문이 말해준다.
우리나라에서는 두 사람에 관한 책이 단권의 번역서로만 나와 있을 뿐이라서 독자들에게 두 대가의 작품은 여전히 낯설을 것이다.
두 대가의 작품에 대한 설명과 보스에 대한 브뢰겔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는데,
독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믿으며, 당시 활약했던 플랑드르 화가들에 관해서도 넉넉하게 언급했으므로
네덜란드 회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