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러스킨John Ruskin(1819-1900)>





빅토리아 시대의 가장 뛰어난 독창적 사상가이며 미술평론가인 존 러스킨John Ruskin(1819-1900)은 라파엘전파의 절박한 상황을 해결해준 일종의 구세주처럼 나타난 것으로 보이지만 그는 라파엘전파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었다.
러스킨은 해설자라기보다는 동지로서 라파엘전파에 결속되었는데, 그의 생애 대부분이 라파엘전파의 운명과 함께 뒤얽혀 있다.
그는 빅토리아 여왕과 같은 해인 1819년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부유한 셰리주酒Sherry의 상인이었고, 어머니는 엄격한 칼뱅주의에 기반을 둔 복음교회파 신도였다.
그의 가족은 런던 근교의 헌 힐Herne Hill에 있는 안락하고 커다란 저택에서 살았으며, 근처 덜리치 대학Dulwich College에는 당대에 흔치 않던 일반인을 위한 갤러리가 있었다.
러스킨은 한 번도 학교에 가지 않았지만 부모와 여러 명의 개인교사들에 의해 강도 높고, 당대의 관점에서 볼 때 독특한 교육을 받았다.
그에게 완고한 도덕성을 처음 고취시킨 것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부모의 엄격한 종교였다.
개인교사를 통해 러스킨은 킹 제임스 영역 성경King James Bible을 공부했다.
빅토리아 시대 대부분의 부유층 자녀들이 그랬듯이 그도 어린 시절부터 회화를 익혔고 당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화가 알렉산더 러시먼Alexander Runciman(1736-85), 잉글랜드의 화가 앤토니 반다이크 코플리 필딩Antony Vandyke Copley Fielding(1787-1855), 복음주의자이면서 잉글랜드의 화가, 사진작가 제임스 더필드 하딩James Duffield Harding(1798-1863)에게서 전통 스케치를 배웠다.


어린 시절부터 글쓰기에 재능을 보인 러스킨은 회화에서도 재능을 나타냈다.
재능은 열여섯 살 때에 그린 드로잉 <옥스퍼드의 성 메리 교회와 올 소울스 대학 St. Mary's and All Souls, Oxford>(1835)에서 발견된다.
허물어져 가는 석조건축의 느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부드러운 연필의 단속적인 선에서 그리고 대학과 성 메리 교회의 중세적인 형태와 세속적인 세부를 혼합하는 방식에서 그가 회화의 건축적 양식에 숙달했음을 본다.
그러나 놀랍게도 그는 화가가 되기를 포기했다.


러스킨의 정신이 형성된 과정은 복잡하지만 어린 시절부터 숭배하던 세 영웅에게서 중요한 영향을 이끌어낼 수 있다.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Edinburgh 출신의 역사소설가, 시인 월터 스콧Walter Scott(1771-1832)에게서 낭만적 중세주의를, 잉글랜드 북부 컴벌랜드의 코커머스 출신의 낭만파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William Wordsworth(1770-1850)로부터 자연의 아름다움에 담긴 의미에 대한 신념을 배웠다.
프랑스와 알프스 지방을 도보로 여행한 워즈워스에게서 영감을 받은 러스킨은 알프스 산을 워즈워스의 시각으로 바라보며 그림을 그렸고, 산에 대한 시를 썼다. 알프스 산은 그에게 예술적 영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러스킨은 낭만주의 풍경화가 터너Joseph Mallord William Turner(1775-1851)에게서 많은 걸 배웠다.
그가 터너의 작품에 집요하게 관심을 갖게 된 것은 1830년대 후반 옥스퍼드 대학에 재학할 때부터였다.
당시 사람들이 터너가 미쳤고 말년의 작품들은 자연에 대해 충실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분개하여 그는 터너를 옹호하는 책을 쓰기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아버지를 설득해 터너의 후원자로 만들었다.
아버지가 구입한 터너의 많은 수채화와 로저스Rogers의 <이탈리아 Italy>에 실린 터너의 삽화는 러스킨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러스킨은 터너에게서 도상과 재현에 대한 열정, 그리고 회화를 통해 세계를 해석하고 재창조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대한 열정을 배웠다.
그가 터너를 처음 만난 건 1840년이었으며 그 뒤 두 사람은 특이한 우정관계를 지속해갔다.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한 이듬해인 1843년에 터너를 변호하기 위해 <근대 화가론 Modern Painters>(5권)의 제1권을 익명으로 발표하여 예술미의 순수감상을 주장하고 예술의 기초가 민족 및 개인의 성실성과 도의에 있음을 역설했다.
그는 시각적 인상을 이와 반대되는 개념적 지식보다 우위에 놓고 훈련된 감수성에 바탕을 둔 관찰을 중시했다.
제3권과 제4권을 1856-57년에, 제5권을 1860년에 출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