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아르누보>



프랑스에서 응용미술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된 공적 기구 장식미술연합Union Centrale des Arts Decoratifs은 1880년대와 1890년대에 장식미술을 촉진시킨 단체로 프랑스 공예의 전통적 특징인 고급스러움과 호화스러움을 선호함으로써 대량생산체제로의 발전을 회피했다.
1890년대에 프랑스 공장들이 성공적이지 못한 것은 프랑스 아르누보가 공예양식으로 장려된 이유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프랑스는 1885년에 영국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산업생산력을 갖추었으나 1896년경 미국과 독일에 그 자리를 양보하게 되었다.
이 같은 쇠퇴에 대한 프랑스 정부가 고안해낸 해결책은 장식미술과 같은 프랑스의 전통적 장점을 강화시키는 보호정책이었다.

세기 전환기에 프랑스는 자신들의 영향이 유럽에서 쇠퇴하고 있음을 느꼈다.
프랑스 사람들은 보불전쟁The Franco-Prussian War(1870-71)의 쓰라린 패배로 과거를 바라보면서도 동시에 근대의 정체성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온갖 과학의 발전과 제국주의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농촌과 증대되던 도시노동자 계급은 여전히 가난에 허덕였다.
노동쟁의는 무정부적 폭력과 연계되어 1890년 이후의 제3공화정(1875-1940)의 허약함을 더욱 부추겼다.
여성의 역할 변화는 여성 이미지가 중심적인 장식 모티프였던 프랑스 아르누보와 특별한 관련이 있는 세기말적 사회현상이었다.
이런 변화는 1890년대와 1900년대에 정치계와 미술계 양편에서 감지되어 ‘신여성 Femme Nouvelle’이란 신조어가 만들어졌는데, 신여성이란 여성의 역할에 관한 문화적, 정치적 담론에서 통용되던 용어로 가정적이고 순종적이며 여성스러운 아름다움이라는 정형화된 여성의 이상을 거부한 여성을 말한다.
여성의 참정권을 위한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에게 어울리는 용어였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1860년대부터 카페나 화랑, 집이나 상점 같은 현실세계에서 근대 여성을 묘사함으로써 새로운 지평을 개척한 반면 많은 아르누보 미술가들은 계속해서 19세기 말의 상징주의 회화, 예를 들면 신화와 성서에서 소재를 딴 환상적이고 신비적인 작품으로 자신의 내적 감정을 표현한 귀스타브 모로Gustav Moreau(1826-98)의 <밤 Night>(1880년경)에서 보듯 그리고 아카데미 회화와 공예품에서 여성의 형상이 자연의 구체적 표현인 식물의 덩굴손 및 잠자리와 결합된 데서 보듯 전형적인 어휘를 사용했다.
이런 어휘에는 루이 샬롱의 꽃병 <수련 요정>에서 보듯 요정, 요부 그리고 때때로 신여성이 포함되었다.

앙리-에른스트 다보Henri-Ernest Dabault가 제작한 브로치 <이브 Eve>(1901)는 에나멜과 은에 오팔을 장식한 것으로 성서의 인물을 다룬 아르누보 이미지의 한 예를 보여준다.
브로치는 에덴동산에서 이브를 유혹하는 뱀을 묘사하고 있다.
그녀는 지혜의 나무에서 금단의 열매를 땀으로써 인류를 낙원에서 죄악과 노역의 세계로 쫓겨나게 한다.
이브는 나약함과 약점, 유혹과 타락의 전형이다.

프랑스에서는 1890년대에 유행한 영국 선호 풍조에도 불구하고 사치스런 장식품들 외에는 영국 미술공예 양식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이 양식이 반영된 대표적인 예로 르네 랄리크의 장신구와 유리제품, 에밀 갈레가 만든 유리제품을 들 수 있다.
건축에서는 엑토르 그리마르Hector Grimard(1807~1942)의 파리 지하철 설계를 들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