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하는 인간 호모루두스>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책 보내는 날짜 : 8월 3일
- 리뷰 마감 날짜 : 8월 28일

- 받으시는 분들 :  인문 B조
무진, 레드미르, Hendrix, 차좋아, 비와구름, 깨비, purpleavenue, 247번, 교고쿠도, 또다른세상
thf2ek, 파고세운닥나무, gca027, 꼴통지니, 파비, 쉽싸리, 꽃도둑, 이카루스, 어릿광대, 귀를기울이면 (총 20명)


* 깜짝 놀랄 만한 응용 분야와 그 뒤에 숨겨진 아이디어로 가득 찬, 게임이론의 세계에 대한 아름다운 안내서라는 이 책은 독자들에게 인간행동과학에 대한 매력적인 맛보기를 제공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단순히 게임 이론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사회과학에 응용되고 있는 게임이론을 소개하고 있다고 하네요. 여전히 논란이 분분한 게임이론의 가장 따끈따끈한 논쟁들을 이 책을 통해 만나 보세요!

* 리뷰 남기시고, 알라딘 서재에 꼭 남겨주세요! 먼 댓글 연결도 꼭이요!!!

* 여름 휴가 다녀오시는 분들이 많으시고, 출판사 역시 여름 휴가가 많은 관계로, 다음 한 주는 문학/인문 분야 신간평가단의 여름 휴가입니다. 이번 도서 리뷰 기간도 매우 넉넉하게 잡았답니다. :) 리뷰 완료 못하신 분들은 이번이 굿 찬스!

* 주소 변경 있으신 분은 개인정보 변경이 아니라 propose@aladin.co.kr로 메일 보내 주셔야 확인 가능하고요. 가끔 메일이 오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신간평가단 서재에 덧글/비밀덧글로도 꼭! 남겨 주세요


댓글(5) 먼댓글(13)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오늘도 고군분투하는 우리들에게
    from 어느 게으름뱅이의 골방 2010-08-13 12:33 
     과학의 전통이 강한 서양에서 특히, 현대에 들어 게임이론이 여러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고 더 나아가 그것이야 말로 자연, 인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것 이라는 전제로 이 책은 출발하고 있다. 과학의 오만함을 운운하기 전에 일단 모든것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에 굉장한 흥분과 흥미가 인다.  게임이론에서 보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예측 가능한데  그것은
  2. 게임이론의 최전선 이야기
    from 책을 읽는 아이 2010-08-19 08:44 
    제목 참 특이하다. '루두스'라는 단어는 처음이니 그럴만했다. 그래서 유명한 그 백과사전을 찾아봤다.  루두스(ludus) : 로대 로마의 검투사 훈련학교  (이런 그 백과사전에도 오타가 있다. '로대'라니..) 유명한 스파르타쿠스도 저 학교 출신이라니 명문(?)이라 하겠다. 아무튼 경기,놀이,운동,훈련이라는 뜻이 있다하니 그런 개념으로 호모루두스를 이해하면 될듯하다.  제목만 보자면 호모사피엔스나 호모노마드,
  3.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
    from 마음이 머무는 곳 2010-08-19 19:26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 자연과 더불어 살아온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존재 근거를 찾으려는 부단한 노력을 전개해왔다. 그러한 노력은 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특정한 학문에 국한되어진 것이 아니라 학문 전 영역에 걸쳐서 끝임 없이 탐구되어온 과정이었다. 그 결과 특정한 환경에서 특정한 행동을 할 것이라는 인간 행동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지고 그것이 한 개인에 행동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예측 가능해 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렇게 인간 행
  4. 게임이론과 그 응용분야에 대한, 결코 만만치 않은 책.
    from 교고쿠도님의 서재 2010-08-21 22:29 
    존 내시, 노벨 경제학상을 타낸 정말이지 천재적인 재능의 소유자로 영화 <뷰티풀 마인드>에 등장했던 수학자다. 수학이 곧 괴로움이었던 순수 문과계 인간인 나는 내시의 이론 같은 것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얼마 전 읽은 이 책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에서는 내시의 게임이론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수많은 학문 분야에 대해 다루고 있다. 게임이론은 경제학에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이제는 자연과학의 여러 분
  5. [헨드릭스의 책읽기 #18] 산타페 연구소에 가고 싶다!
    from Fly, Hendrix, Fly 2010-08-27 16:01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 - 톰 지그프리드 지음, 이정국 옮김/자음과모음(이룸) 우석훈과 작년에 함께 하면서 귀에 못 박히게 들었던 이야기가 '싸이언스'였던 것 같다. 인류학의 첨단과 사회학의 첨단. 모두 싸이언스에 있고, 작년 Elinor Ostrom이(2009/10/13 - [생각하기/정치사회비평] - 2009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Elinor Ostrom의 Science 논문)이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는 것의 의미가 이제는 새로운 Gover..
  6. 게임이론 - 상상 그 이상의 상상
    from 비와하늘 2010-08-27 21:50 
    HOMO LUDUS   인간을 뜻하는 HOMO에 게임을 뜻하는 라틴어 LUDUS가 합쳐졌다. 즉 게임하는 인간이다. 그리고 존 내시의 게임이론으로 살펴본 인간본성의 비밀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이런 경우는 흔히 외국도서가 국내에 번역되면서 이루어 지는 오류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 들이기 위해 유명한 사례를 가지고 와서 붙인다는 것, 하지만 때론 그것이 너무나 진부할 때가 있다. 뷰티풀 마인드(2002년
  7. 잡종과학을 위해 건배를!
    from 꽃도둑 뭐하게?.. 2010-08-28 21:23 
      이 책에서는 게임이론의 발생서부터 현재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그 흐름을 11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사람들 사이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행동의 창발과 확산 그리고 안정화까지 모든 영역을 다루는 인간행동을 연구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했지만 이제는 수학, 경제학, 진화 생물학, 사회학, 인류학 생물학 등 모든 분야에서 도입해서 연구 중인 학문으로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내시의 균형이론의 바탕 위에 만들
  8. 통섭시키는 게임이론, 그 방향은?
    from thf2ek님의 서재 2010-08-29 23:46 
      호모루두스   통섭시키는 게임이론, 그 방향은?    현대 학문의 방향의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는 '통섭' 일 것이다.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 대화라고도 볼 수 있는 이 흐름은, 한 학문을 깊이 베우고 익힐수록 다른 학문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면서 나오게 된 것이다. 예를 들자면 원자물리학과 같은 물리학 분야는 물리학이지만, 화학적 이론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9. '게임이론'으로 살펴보는 인간행동의 법칙
    from 깨비의 작은 책장 2010-08-30 01:18 
      수학의 분야이지만 물리학과 경제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환영받는 분야가 있다. 바로 확률과 통계 부분이다. 역설적으로 들릴지는 몰라도 이 분야가 도박과 인연을 맺으면서 발전해 왔다는 사실을 부인하지는 못한다. 다만, 지금은 모든 사회 역학적인 것을 통계역학이라는 장르로 풀어보려는 시도를 많이 한다는 것만 다를 뿐이다.   도박을 잘한다는 것은 같은 게임을 하는 상대방의 패를 추측해야 한다는 것과 같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10. 게임이론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집대성한 흥미진진한 책
    from 레드미르님의 서재 2010-08-30 10:38 
      내가 “게임이론”을 처음 대한 것은 미시경제학 시간이었다.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로 이제는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을 내용으로 공범 두 명이 모두 자수를 하거나 모두 묵비권을 행사해서 죄를 인정안하면 감형을 받을 수 있지만, 둘 중 어느 한명이 자수를 했을 때 자수하지 않은 다른 한명은 더 무거운 형벌을 받을 수 있는 경우 죄수들은 상대방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엔 서로 자백을 하려 한다는 이론이었다. 그 당시
  11. 매 순간 선택의 기로에 선 인생. -인생 게임-
    from 한 잔 합시다! 2010-09-20 10:28 
    표지만 보면, 인생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 별의별 짓을 다하는 인간본성을 낱낱이 파헤쳐 줄 것 같은 기대가, 그래서 꽤나 흥미진진할 것 같은 기대가 생긴다. 그러나 첫 페이지를 읽다가 눈과 머리가 팽팽 돌 지경이다. 웬 과학 전문용어가 줄줄이 등장을 하는지... 그래도 다행인 건 한 장 한 장 읽어나가면서 읽는 속도도 붙고 문맥도 따라갈 수 있더라는 것... 이 책의 주된 이론은 게임이론이지만, 게임이론은 이 세상의 온갖 학문과 이론을 연결할
  12. '진짜'로 미래 예측까지 가능 할 지도?
    from 247번 방 2010-09-22 13:14 
                자. 어떤 행성이 있다 치자.  거기엔 사람정도의 지능을 갖춘 원숭이(다만 원숭이 보다는 조금 더 귀여운, 하지만 편의상 원숭이)과의 동물만이 살고 있다. 아쉽게도 이 행성 안에는 다른 동물은 전혀 없고, 이 원숭이 보다 좀 더 귀여운 친구들이 즐겨 먹는 바나나 비슷한 과일만 있다. 당연히 원숭이들은 생존을 위해서 주기적으로 바나
  13. 이론이라고 어렵기만 하리요?
    from 책이 좋아 책하고 사네.. 2010-10-13 21:57 
    게임이론 이런거 잘 모른다. 게다가 난 게임을 싫어하는 게 아니라 아예 할 줄을 모른다. 스타크레프트는 아무리봐도 도대체 뭐가 뭔지도 모르겠고, 심지어 어릴적 오락실도 한번 안가본 인간(?)이다. 하지만 이 책은 꽤나 흥미로웠다. 쉬운말로 설명해놔도 몇 번은 곱씹어야 이해 될까말까한 부분도 많았고, 공포의 미적분, 양자역학 등 수학, 물리학 이론들이 끝없이 쏟아졌지만 그래도 재밌었다. 게다가 아직 읽진 못했지만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교고쿠도 2010-08-03 22:13   좋아요 0 | URL
A조것이 약간 탐남과 동시에, 갑자기 경영경제쪽과 비교해서 그쪽이 책이 훨 많은듯 해서 약간은 샘이 나네요. 으핫 간사한 이 마음.

saint236 2010-08-04 11:35   좋아요 0 | URL
호모 루두스라. 왜일까요? 호모라는 말만 붙으면 혹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호이징어때문일까요?

무진無盡 2010-08-05 14:24   좋아요 0 | URL
흥미로운 책 잘 받았습니다~

dd 2010-08-08 20:35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ㅋㅋ

무진無盡 2010-08-19 19:27   좋아요 0 | URL
더소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이긴 했지만 정말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인간 행동에 대한 탐구 과정에 읽힌 학문과 과학자들의 현주소를 알 수 있어 정말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