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괴불나무
보고 싶은 꽃은 언제나 멀리 있거나 지고 난 후에나 소식을 듣는다. 안타까운 마음만 더할 뿐이다. 하여, 기회가 오면 망설이지 말아야 하고 오는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늘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먼 곳으로 길을 나섰다. 벗들을 만나 앞서거니 뒷서거니 숲에 들었다. 주고 받는 이야기 속에 꽃향기가 넘실댄다.

대상으로 삼았던 꽃을 충분히 봤다고 생각하고 앞서서 길을 나섰는데 일행들이 올 기미가 없다. 놓치고 온 것이 있다는 것을 짐작하기에 되돌아가 주변을 다시살핀다.

그렇게 해서 만난 꽃이 이 홍괴불나무다. "꽃은 5 ~ 6월에 피고 짙은 자홍색이며 새 가지에 달리고, 꽃대는 길이 1 ~ 2cm로 대개 잎 뒷면을 따라 붙는다." 잎 사이에 숨은듯 특이한 모습으로 피었다. 비슷비슷 나무들이 많기에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때를 놓쳐 지리괴불나무의 꽃을 보지 못한 아쉬움을 위로 하려는듯 새로운 식물을 만났다. 나 만의 식물사전에 새로운 종이 추가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뜻한 운치를 지닌 패랭이꽃

節肖此君高 절초차군고
花開兒女艶 화개아여염
瓢零不耐秋 표령불내추
爲竹能無濫 위죽능무남

절개는 대나무의 높음 닮았고
꽃 피면 아녀자의 고움이 있네.
흩날려 가을철도 못 견디노니
대나무 되기엔 외람되도다.

*고려 사람 이규보의 시〈석죽화〉다. 이규보는 “고금을 통털어 모란시를 가장 많이 지었지만, 그래도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마음이 성에 차지 않아, 샅샅이 찾아가며 온갖 꽃을 다 읊고, 마침내 석죽화에까지 그 날카로운 시의 붓을 향하였다.”

석죽화의 속명이 패랭이꽃이다. 초립동이가 쓰는 모자인 ‘패랭이’와 비슷해 얻은 이름이라고 한다. “석죽화는 바위틈이나 산중의 건조한 곳에 자생하는 평범한 꽃이다. 하지만 그윽한 운치가 있고, 심으면 잘 나고, 옮겨 심어도 잘 살기 때문에 원예가들이 즐겨 재배한다.” 다산 정약용은 “우리나라의 석죽화는 다만 붉은 색 뿐이지만, 중국산은 5색의 꽃이 다 있다”고 했다.

世愛牧丹紅 栽培滿院中 세애목단홍 재배만원중
誰知荒草野 亦有好花叢 수지황초야 역유호화총
色透村塘月 香傳隴樹風 색투촌당월 향전롱수풍
地偏公子少 嬌態屬田翁 지편공자소 교태속전옹

세상사람 모란 붉음 사랑하여서
동산에 하나 가득 기르는구나.
뉘 알리 황량한 들판 위에도
또한 좋은 꽃떨기 숨어 있음을.
빛깔은 방죽 달빛 스미어들고
향기는 언덕 나무 바람에 오네.
땅이 후져 공자님 찾지 않으니
교태를 농부에게 맡기는구나.

고려 때 시인 정습명(鄭襲明)의 시〈영석죽(咏石竹)〉이다. “석죽화가 아리따운 자태는 여름철에 사랑을 받는 봉선화만 못하고, 그윽한 운치는 겨울철에 맑게 피는 수선화에 미치지 못한다. 곱기로는 저 모란꽃의 발치에도 서지 못하고, 가녀린 것은 양귀비꽃을 바라보지도 못할 것이다. 또 순결한 자태는 숲 아래에서 고개를 숙이고 하얗게 피어 있는 백합에 비해 하늘과 땅의 차이가 있다 하겠다. 그런데도 어찌하여 정습명은 굳이 이런 평범한 꽃을 즐겨 예찬하였을까?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푸더분한 아내가 비록 자색이 빼어나지는 않아도 오히려 가정의 사랑과 기쁨을 돕는 것과 마찬가지로, 석죽화는 시골 사람에게 볼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매년 낮은 산과 들에 봄꽃이 지고나면 지리산 노고단에 오른다. 높은 산에 피는 꽃을 보기 위함이다. 여기쯤 무슨 꽃이 피었는데 라며 두리번거리는 장소가 있기 마련이다. 그곳 중 하나에 이 꽃이 핀다. 그것도 꽃잎이 여러 갈래로 갈라진 술패랭이꽃이다. 바람이 많은 곳에서 바람따라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이 좋아서 매번 놓치지 않고 눈맞춤 한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동덩굴
들고나는 대문에 향긋한 내음이 머문다. 향기따라 눈이 머무는 곳에 노랗고 하얀 꽃이 함께 있다. 과하지도 않고 오랫동안 머무는 향기로 인해 마음은 안정되고 기분은 좋아진다. 내 뜰을 찾는 이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향기다. 꽃을 가까이하는 이유 중 하나가 여기에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볼 수 있는 반 늘푸른 넓은잎 덩굴성 작은키나무다. 잎이 일부가 남아 겨울에도 푸르게 살아 있어 겨울을 잘 이긴다(忍冬)고 인동덩굴이며 지방에 따라 인동초, 연동줄이라고도 한다.

'금은화'라고 하는데 처음 꽃이 폈을 때는 흰색, 즉 은색이고 꽃이 시들어 갈 무렵이면 노란색, 즉 금색으로 변하는 데서 유래되었다. 꽃이 수정이 끝나면 색이 변하는 것이라고 한다.

꽃도 아름답고 향도 은은하고 좋다. 꽃은 차로 먹으면 은은한 향이 전체에 퍼지고 맛도 좋다. '헌신적 사랑'이라는 꽃말이 잘 어울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대에게 줄 수 있는게 없어요"

상대를 지극히 배려하는 마음이다. 더불어 스스로 가슴에 상대를 받아들이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까만밤 길어진 목으로 달을 기다리는 달맞이꽃이나 먼동 트는 새벽 태양을 기다리는 해바라기의 마음과도 다르지않다.

'준 것이 없다해도 받은 것은 많다는 말이 가능하다' 는 이 속 깊은 정情은 시간의 겹이 쌓여 깊어진 마음일 때 비로소 알게 된다.

"꽃에 물든 마음만 남았어라

전부 버렸다고 생각한 이 몸속에"

-사이교

이제, "그대에게 줄 수 있는게 없어요"라고 안타까워하는 그대 마음자리 깊은 곳에는 꽃물든 깊은 정으로 가득채워질 일만 남은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갯완두
짠물의 영향을 많이 받아도 사는데 지장이 없는 식물들이 외외로 많다. 섬이나 바닷가에서 사는 식물들을 보면 알 수 있는데도 짠물과 식물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꿔야 하나보다.

갯가는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의 물가니 갯자가 붙은 식물들의 서식지가 바닷가나 물가라는 것을 짐작하게 하는 접두사다. 갯장구채, 갯메꽃, 갯금불초, 갯방풍, 갯기름나물, 갯버들..등이 그것이다.

갯완두 역시 해안가 모래땅에 산다. 붉은 자주색의 꽃과 꼬투리를 포함한 열매의 모양이 완두를 닮았다. 식용으로 사용하지는 못하고 약용으로 쓰인다고 한다.

바다를 배경으로 하는 꽃무리가 주는 아름다음이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