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하는 인간 호모루두스>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게임하는 인간 호모 루두스 - 존 내시의 게임이론으로 살펴본 인간 본성의 비밀
톰 지그프리드 지음, 이정국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수학의 분야이지만 물리학과 경제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환영받는 분야가 있다. 바로 확률과 통계 부분이다. 역설적으로 들릴지는 몰라도 이 분야가 도박과 인연을 맺으면서 발전해 왔다는 사실을 부인하지는 못한다. 다만, 지금은 모든 사회 역학적인 것을 통계역학이라는 장르로 풀어보려는 시도를 많이 한다는 것만 다를 뿐이다.

  도박을 잘한다는 것은 같은 게임을 하는 상대방의 패를 추측해야 한다는 것과 같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방의 의중도 꽤뚫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인간 본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는 과학자들에게는 꼭 풀어보고 싶은 신의 영역이기도 하다.

  인간 본성에 대한 연구는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일정한 형식의 수학적인 공식을 통해 풀어보려는 노력은 계속 진행되어 왔지만, 20세기 중반이 되기까지 뚜렷하게 진전된 것이 없는 분야였다. 그러다 '내시균형'으로 불리는 게임이론이 처음으로 세상에 소개되었다. 이후 세상은 게임이론을 통해 인간 본성을 풀어보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었고, 다양한 장르와 학설이 쏟아져 나오게 된다.

  『게임하는 인간 호무 루두스』는 게임이론을 통해 인간 본성에 대한 연구가 지금까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경제학, 심리학, 사회학 등 굵직한 학문이 진화생물학, 인류학, 신경과학으로 분화되고, 이는 또 다시 신경경제학, 네트워크과학, 사회물리학, 양자역학, 정보이론 등에 까지 확장된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이유가 뭘까? 저자는 책에서 과감하게 '게임이론'을 그 해답으로 전면에 내세운다. '게임이론'을 통해 이 모든 분야가 하나로 통합된다는 것이다.

  저자는 책을 통해 게임이론의 역사를 고대 로마법에서 시작되었다고 강변한다. 그뒤를 잇는 사람은 뉴턴이다. 프린키피아로 대변되는 현대 과학. 그리고 그 뒤를 잇는 사람들의 면면도 화려하기 그지 없다. 국부론으로 유명한 아담 스미스가 나오는가 하면, 다윈의 진화론 역시 맥락을 같이한다고 소개한다.

  게임이론은 오늘날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주식의 부침, 암의 발병 요인, 최신 패션경향, 국민들의 투표성향, 테러집단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얼핏 봐서는 특정한 법칙이 없을 것 같은 분야를 과학 또는 수학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쉽지 않은 내용으로 이해하면서 읽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 책이었다. 효용이라는 개념, 가치라는 개념으로 보면 이성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인간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밝히는 '행동경제학'도 게임이론이 만들어 낸 장르라는 사실에 놀랐다.

  인상에 남는 부분은 존 포브스 내시라는 수학자의 이야기다. 내시균형이라는 이론으로 '게임이론'의 수학적 기초를 정립한 공로로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천재수학자. 노벨상에 노벨수학상은 없다. 아무리 그래도 수학자가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는 사실에는 쉽게 동의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책 끝 부분에 게임이론에 관한 책을 소개하는 코너가 있다. 소개된 책중 우리나라에서 번역되어 출간된 책이 있을텐데 이에 대한 소개가 없이 그냥 원문을 그대로 인용해 버린 부분은 조금 아쉬움이 남는다. 우리나라에서 '게임이론'을 알기 쉽게 쓴 책도 여러권 있다는 것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알았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접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