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제목을 보는 순간, 많은 사람들이 같은 생각을 하지 않을까?
오늘 아침 시무식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말했다.
"올해는 꼭 좋은 일 있으세요!"
보다 직설적인 사람들은 이렇게 말했다.
"올해는 국수 먹을 수 있는 거죠?"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나의 새해 목표는 결혼이 아니다.
"결혼이 무슨 목표야? 좋은 사람 만나면 자연스럽게 하는 거지."
이렇게 말하면 주위에서 참 말 많다.
"그러니까 아직까지 결혼을 못한 거지" 라거나,
"결혼에도 전략이 필요한 거야." 등등.....
사실 작년에는 부모님 등살에 스트레스도 많이 받고 했는데,
내가 너무 남들의 싸이클에 비해 뒤쳐지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에
선도 몇 번 보고 그랬는데,
솔직히 지금은 결혼에 별 생각이 없다.
좋은 사람 있으면 결혼한다.
아주 단순하다.
하지만 "결혼을 위한 결혼", "부모님께 효도하기 위한 결혼", "적당히 눈높이를 맞춘 결혼",
"노후 안심형 보장 결혼", "남들 다하니까 하는 결혼"등은 절대 하기 싫다.
이런 말 하면 주위에서 아직 정신 못 차린다고 말하는데
난 아직 "soul mate"를 믿는다.
만나지 못한다면...그냥 혼자 살면 그만이다.
자....이제 본론에 들어가서...
05년 나의 목표는 책을 내는 거다.
책 앞날개 저자 소개에 "성수선"이란 이름이 또박또박 적혀 있는 책.
그게 내 목표다.
소설이냐구? 아니다.
독서일기냐구? 아니다.
그럼 도대체 뭘 가지고 책을 한 권 쓰냐구?
바로 내 일상 이야기다.
전인권(들국화의 전인권 오빠 아님) 교수는 자신의 책 <남자의 탄생>에서
지극히 사적인 자신의 유년기를 살펴 보고 고백함으로써
"한국 남자" 가 어떻게 자라고 어떻게 한국 남자의 "정체성" 이 형성되는지를
보여 준다.
정.말, 지.극.히 사적인 개인적 삶의 고백이다.
하지만 개인적 삶은 "보편성"을 담고 있다.
교수가 쓴 책이니 어렵냐구?
천만에....
궁금하면 한번 읽어보시라.
아버지랑 어머니랑 부부싸움을 어떻게 했고, 화해는 어떻게 했고,
언제까지 젖을 먹었고,
어머니 계 모임에 따라간 이야기 등등 자신의 지나간 일상을 고백했을 뿐이다.
개인의 "일상"으로 그 개인이 속한 집단의 "정체성"과 "보편성"을 알 수 있다.
글로리아 스타이넘 언니는 말했다.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그렇다.
나는 내 일상을 책으로 엮겠다.
지금의 위치, 지금의 감수성, 지금의 상황에서만 할 수 있는 얘기를...
나중에는 하지 못하는 얘기를....
이 프로젝트에 결정적 용기를 주신 분이 있다.
바로 <흡연여성 잔혹사>의 저자 서명숙 선생님이다.
12월 31일, 04년의 마지막 날,
서명숙 선생님과 차를 마셨다.
서명숙 선생님 : " 나한테 하는 이런 얘기들을 책으로 써봐."
수선 : " 할 수 있을까요? "
서명숙 선생님 : " 너의 경험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 거야.
베스트셀러 되기는 힘들겠지.
그런데...모든 일에는 시점이 있는 거야.
지금 할 수 있는 얘기는 지금만 할 수 있어."
난 97년부터 영업의 최전선에서 일했다.
즉, 빡센 조직생활을 했고 그 빡센 조직에서 난 항상 유일한 여자였다.
오랜 세월동안 조직의 문화는 철저하게 남성 중심적인 것이었다.
조직에 아예 여자가 없었으니까...
난 그 동안 없었던 자리를 만들어 내려 낑낑거렸다.
조직은 내게 만만하지 않았다.
지나가는 행인들을 잡아서 침대에 눕힌 후
침대 길이 보다 키가 큰 행인은 잘라 버리고,
침대 길이 보다 키가 작은 행인은 늘여 버리고 했던
프로쿠르스테스 처럼....
트렌스젠더가 자신의 "성 정체성"과 싸움하듯이,
하리수가 남자로 살아 보려 힘겹게 노력했다고 고백한 것처럼,
나도 남들과,그러니까 남자들과 똑 같아 지려고 처절하게 노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똑같아지지 못했다.
그러면서 남들 하는 대로 하지 못하는 나를 탓했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는 말을 생각하며,
내가 조직에 맞추지 못하는 것은 다 내 탓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젠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조직도....같이 변해야 한다.
더 이상 남자들만 있는 조직이 아니다.
여자 후배들이 하나, 둘씩 늘어 가고 있다.
언젠가는 조직의 반이 될 것이다.
조직의 문화도 이런 변화를 수용하며 옷을 갈아 입어야 한다.
난 내 일상을 소재로 한 책을 통해,
조직생활을 하는 여자의 "정체성" 문제,
가끔 벽에 머리를 부딪히는 것 같은 당혹감과 어려움,
세상 속에서 소통하며 성장하는 즐거움과 행복함을
잔잔하게 말하려 한다.
내가 세상에 내놓을 책은
<나는 이기는 게임만 한다>, <그녀에게선 바람소리가 난다>
같은 성공한 여자들의 얘기도 아니고,
멋있고 cool한 얘기도 아니다.
엎치락 뒷치락, 아둥바둥 하루 하루를 살아가는 일상,
그 일상을 고백함으로서 공감대를 만들고 싶다.
이것이 바로 05년 나의 목표. 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