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에는 남자들만 산다
고은광순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 정말 cool하다.
근데...책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표지가 정말 엉망이다.
책 내용은 너무도 치열하고 진보적인데,
책 표지는 너무 구태의연하다.
세상에.... 저자가 빨간색 홈드레스 차림에 고무장갑을 끼고 노란색 확성기를 들고 있다. 트럭 세워놓고 생선 파는 아저씨가 "생~선, 생~선 왔어요!" 소리칠 때 쓰는 손잡이 달린 마이크.
표지를 디자인한 사람은(디자이너라는 말이 안나온다)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이런 그림을 넣었을까?
혹시 이런 쾌쾌묵은 짝짓기를?
여자 - 앞치마, 고무장갑
자기 목소리를 내는 여자 - 앞치마,고무장갑 + 확성기
이런 생각이라면.... 한숨이 나온다.
근데...표지 때문에 이 책을 평가절하하면 안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진정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이 책을 12월 31일에 다 읽었으니,
04년 마지막 읽은 책이다.
12월 31일.
종무식이 시작되기 30분 쯤 전이었다.
내 책상에는 이 책이 살포시 놓여 있었다.
상무님이 지나가시다가 이 책을 보시더니 말씀하셨다.
상무님 : (표지에 있는 저자 이름을 가리키며) 이 여자는 이름이 세글자야?
수선 : 아니요, 부모성 함께 쓰는거예요.
이름이 세 글자가 아니라 성이 두개예요.
상무님 : (뜨악한 얼굴로) 필명이지? 설마 호적을 바꾼건 아니지?
수선 : (신나하며) 호적 바꿨는데요.
상무님 : 아니 호적상에 성을 두개로 바꾸는게 가능하단 말이야?
세상 좋아졌다.세상 좋아졌어.
수선 : 그럼요, 호주제가 폐지되면 엄마성만 쓸 수도 있어요.
부모의 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거죠.
상무님 : 뭐야? 아니 미국에서도 다 아버지 성을 쓰는 판에 무슨
소리야?
수선 : (그만 대꾸하라는 주위의 시선을 느끼며 잠시 침묵)
상무님 : 성을 마음대로 바꾸면 사회 질서가 흔들리지.
이 여자나 그렇게 살라 그래!
아....이것이 종무식을 30분 앞둔 상무님과 성대리의 대화였다.
"호주제 폐지"에 대부분의 남자들은 "발끈"한다.
호주제 폐지를 외치는 여자들은 대부분 이혼녀라고 말한다.
사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멀쩡한 법을 왜 뜯어 고치냐고 말한다.
미국에서도 아버지 성을 따르고, 심지어 결혼하면 남편성을 쓰는데
왜 자기 성을 쓰는 한국에서 이 난리냐고 말한다.
정말 그럴까?
미국에서는 아버지 성을 따르는 관습이 지금도 있으나 법적으로는 대부분의 주에서 부모의 협의에 의해 자유로이 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결혼 후 남편의 성을 쓰는 것도 관습일 뿐이어서 부부가 새로운 성을 쓰거나 결혼 후에도 자기 성을 고수하는 경우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영국도 마찬가지며 캐나다 정부는 결혼 후 성을 바꾸지 말도록 강력히 권장하고 있다.
일본도 1991년에 법을 바꾸어 부모 성 중에 선택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다.(p97)
외국에서도 그러니 우리도 그래야 한다는게 아니다.
아들만이 대를 이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몰상식이 만연한 세상에서 많은 사람들이 불행을 당할 수 밖에 없다.
여성계에서 부계 성씨를 싹 무시하고 모계 성씨를 쓰자고 선동을 하고 있는게 아니다. 부계 성씨 사용이 강제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보다 행복한 세상을 위하여.
그냥, 막무가내로, 기존의 질서가 깨질까봐
조바심을 내며 짜증내지 말고,
귀를 크게 열고 들어 보아야 한다.
이 책을 읽으며 가장 마음이 아팠던 부분.
<복음과 상황> 인터뷰 전문기자 지유철님과의 인터뷰 이야기다.
인터뷰 시작 전에 늘 하듯이 오신 분들에게 호주제 폐지를 위한 시민의 모임에서 만든 홍보엽서 8종을 드린 뒤 강아지 엽서를 보면 어떤 느낌이 드냐고 물었다......(중략)......
"음음,어,뭐랄까.이걸 보면 어,만든 사람들의 뭐랄까....,만든 사람들의 어떤 절박한 마음 같은 것이 느껴지면서..."
그 말을 듣자 갑자기 나도 모르게 눈시울이 뜨거워지고 입술이 씰룩거려져서 결국 인터뷰를 눈물 바람으로 시작하게 되었다.한번 터진 눈물 창고가 수시로 터지는 바람에 정말 고약한 인터뷰가 되었다.(p180~182)
많안 남자들은, 또 자신은 여성운동에 관심 없다고 말하는 많은 여자들은 페미니스트들이 억척스럽고 독하다는 선입견을 갖고 있다.
억척스럽고 독해서 그렇게 목이 터져라 외친게 아니다.
절박해서였다. 절박해서.
그 절박함이 다가와 마음이 아팠다.
이제 곧 행복한 소식을 들을 수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