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 열린책들 세계문학 46
존 르 카레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자극한 것은 물론 베를린 장벽이었다" p365

그래서 나는 문학을 좋아한다.


정치가는 장벽에 자신의 정치적 의도를 두껍게 계획하고 유지하기 바빴을 것이다.

그 정치가의 색깔에 카멜레온처럼 색을 맞춘 스태프 (staff)들은 그 변화시킨 색을 밝히며 열심히 이런저런 일들을 했을 것이다.

장벽 설계자와 시공자들은 솔직히 일단 돈을 벌어야 하니 스태프들이 원하고 지시하는 대로 장벽을 쌓아 올렸을 것이다.

장벽을 지키는 이 또한 처음 방아쇠를 당겨야 할 때의 망설임은 무뎌지고, 동독이나 서독의 사회 일원으로써 일했을 것이다.

멀리서 장벽을 지켜보는 이들은 그 장벽이 이미 일상의 회색이 되어 무감각해졌을 것이다.

장벽을 넘거나 뚫어 다른 세계로 탈출한 이들은 목숨을 건 성공의 희열과 서러움과 분노와 슬픔을 가슴에 묻고만 있었을 것이다.

실패한 사람들 그래서 말 못한 사라들은 침묵한다.

장벽을 지나는 데 성공했든 실패했든 모두 침묵한다.


그리고, 여기 장벽 앞에 한 작가가 서 있었다.


"베를린 장벽은 완전한 극장이었을 뿐만 아니라 미쳐 버린 이데올로기의 기괴함을 완벽하게 상징하는 것이기도 했다." p366

"나는 역사의 구역질 나는 몸짓이 나 자신 속의 필사적인 메커니즘과 일치하여 6주 만에 내 인생을 바꾸어 놓은 책을 쓰게 해준 그때를 잊지 않을 것이다" p369

"실제로 소설의 문장은 바람처럼 빠르고 공기처럼 가볍다." p377


그는 그 장벽 앞에서 어떤 의도도 가지지 않았고, 어떤 이윤도 추구하지 않았고, 어떤 지시도 따르지 않았고, 어떤 강제된 사회 일원으로써의 의무도 지지 않았고, 무감각해지지도 않았다. 그리고 그 장벽 앞에서의 느낀 모든 것을 가슴에 묻지 않았고, 침묵하지 않았다. 그는 그 길고 높고 추운 장벽을 온몸으로 받아 단 6주 만에 이 소설을 썼다.

'개인이 사상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어서.


"내가 이 소설을 통해 서구 자유주의 국가 사람들에게 보여 주고 싶었던 최고이자 유일한 팩트는 개인이 사상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관념" p393


그래서 나는 장벽 앞에 서 있던 모든 사람 중에 '작가'를 가장 좋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러터에서는 한 위젯의DA스타일을 다른 위젯으로 설정한다. 즉, 패딩을 추가하려면 Padding 위젯을 사용해야 한다. - P99

플러터는 new, const 키워드를 둘 다 사용하지 않으면 프레임워크가 가능한Looongas 191 MONE 0const로 위젯을 추론하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 P101

다트는 AOT 컴파일러이면서 JIT 컴파일러다. 컴퓨터로 앱을 개발할 때는 JIT을 사용한다. 실시간으로 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한다는 의미에서 just in time‘ 컴파일러라 부른다. 앱을 제품으로 배포할 때는 AOT 컴파일러를 사용한다. - P1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히 요즘처럼 컴퓨터 책이 넘쳐나는 시대에 매닝은 두 세기 전의 지역적 삶의 풍부함과 다양성이 담긴 그림을 표지로 선정해 컴퓨터 비즈니스의 독창성과 진취성을 되새긴다. - P13

우선 구글 애즈 같은 주요 수입원 서비스 내부에서 다트를 사용하므로 더 이상 API가 크게 바뀌는 일은 없을 것이다. - P36

다트 유닛 테스트는 아주 쉬우며 플러터는 테스팅 위젯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 P37

넓은 의미로 플러터는 웹의 리액트처럼 리액티브, 선언형declarative, 조합할 수 있는 뷰 계층 라이브러리다(하지만 플러터는 렌더링 엔진도 포함하므로 실제로는 리액트와 브라우저를 합한 것과 더 비슷하다). - P39

즉 상태가 없는 위젯은 언제 위젯을 트리에서제거해야 할지, 언제 리빌드해야 할지 프레임워크에 알리지 않는다. - P43

이렇게 한 번의 위젯 트리 탐색은 강력하다. 반면 브라우저에서는 DOM, CSS 규칙으로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CSS의 중첩 특성상 요소의 크기와 위치는 본인이나 부모가 결정하며, 모든요소의 위치를 결정하려면 DOM 트리를 여러 번 탐색해야 한다. 모던 웹의 가장 큰 성능 병목현상이 여기서 발생한다. - P49

이 과정은 의도적으로 그리기 과정과 별도로 진행된다. 덕분에 기존에 조립된 위젯을 다시 재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1-13]처럼 긴 리스트를 스크롤했다고 가정하자. 리스트의 모든 항목을 다시 빌드할 필요 없이 플러터는 기존에 빌드하고 그렸던 위젯을 필요한 곳에 재사용한다. - P50

다음은 유효한 코드지만 다트 스타일 가이드2에 따르면 객체에 null을 명시적으로 할당하지 않는 것이 좋다. - P65

다트는 ?.. ??, ??= 세 가지 널 인지 연산자를 제공하는데 이를 하나씩 살펴보자. - P67

if (3) { 같은 코드는 유효하지만 다트는이 코드를 허용하지 않는다. - P71

다트에서는 new 키워드 사용을 권장하지 않으므로 지금부터는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 - P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약 5주 남짓 맹렬히 이 책을 썼다

나를 자극한 것은 물론 베를린 장벽이었다

베를린 장벽은 완전한 극장이었을 뿐만 아니라 미쳐 버린 이데올로기의 기괴함을 완벽하게 상징하는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는 내가 순진했던 시절에 쓴 마지막 책이다.

나는 너무 오랫동안 가난했고, 술을 너무 많이 마셨고, 내 직업 선택이 과연 현명했는지를 깊이 의심하기 시작했다.

1963년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이하 『스파이』)를 내놓음으로써 그는 엄청난 대중적 성공을 거두었고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올라섰으며 독창적인 스파이 소설 작가라는 명성을 확립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살인 사건 수사 과정이 나오지 않고 따라서 경찰관들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그는 첩보 세계의 실상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현대 세계, 특히 영국에 대한 그 자신의 비전을 작품 속에 삽입해 넣는다.

실제로 소설의 문장은 바람처럼 빠르고 공기처럼 가볍다.

그것은 하찮은 것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었다. 평범한 생활이 가치가 있다는 믿음, 빵 부스러기를 종이 봉지에 넣고 해변으로 걸어가 갈매기들에게 던져 주는 소박함. 하찮은 것에 대한 이 관심은 리머스가 이제껏 가질 수 없었던 것이었다.

사람은 무언가를 믿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믿을 뿐이고, 믿음의 대상 자체는 아무 가치도 없고 기능도 없다.

〈영국(나아가 서방 세계 포함)의 정신적 건강을 진단하고 있는 이 작품은 스파이 스릴러라기보다는 기만, 환상, 패배 등을 천착하는 사려 깊고 동정적인 명상의 소설이다.〉

존 르카레는 데이비드 존 무어 콘웰David John Moore Cornwell의 필명이다.

〈내가 이 소설을 통해 서구 자유주의 국가 사람들에게 보여 주고 싶었던 최고이자 유일한 팩터는 개인이 사상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관념〉

1974년43세제7작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Tinker, Tailor, Soldier, Spy』 발표. 국제적으로 대성공을 거둠. 이중간첩의 색출이라는 주제를 다룬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햄릿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40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이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디오북을 듣고, 종이책을 읽고 해설을 모조리 읽어도 모르겠다. 햄릿은 정말 우유부단했을까?

문학동네의 햄릿은 햄릿이 226페이지이고 해설이 96페이지이다! 해설은 여러 종류의 인쇄원고도 이야기해주는데 자필 원고가 포함된 원고와 지방 공연을 하며 대본을 챙기지 못해 기억을 더듬어 사용한 악사 절판 (bad Quarto)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준다. 또한, 햄릿의 줄거리가 12세기에 쓰이고 1514년에 출판된 덴마크 사학자 삭소 그라마티쿠스 (Saxo Grammaticus)의 "덴마크 역사책 Historiae Damiae)라는 것도 알려준다. 그래서 주인공의 이름도 암렛 (Amleth)이 햄릿 (Hamlet)으로 게루다 (Gerutha)가 거트루드 (Gertrude)로 바뀌었다고 한다. 또한 그 시절의 병든 사회를 비판하는 주제를 원제 "덴마크 왕자 햄릿의 비극적 이야기 (The Tragicall Hiftorie of HAMLET. Prince of Denmarke)"를 언급해서 다룬다. 햄릿부터 아버지 혼령, 어머니 거트루드 왕비, 형을 죽이고 형수와 결혼한 삼촌 클로디어스 왕, 간신이며 공신인 폴로니어스, 안타까운 아름다운 오필리어, 불을 뿜는 레이티즈, 그리고 올바른 호레이쇼, 어리석은 로즌크랜츠와 길던스턴, 햄릿과 대비되는 포틴브래스, 무려 무덤 일꾼과 그의 동료에 대한 상세한 심리와 행동 분석에 많은 페이지를 할애한다. 특히 햄릿 부분에는 왕이 "우리 조카 햄릿은 어찌 지내고 있는가? (How fares our cousin Hamlet?) 이라고 물으면 햄릿이 "아주 잘 지냅니다. 카멜레온의 음식으로. 저는 약속으로 꽉 찬 공기를 먹고 사니까요. 식용 수탉이라도 이렇듯 잘 먹여 키울 수는 없을 겁니다 (Excellent, i'faith, of the chameleon's dish. I eat the air, promise-crammed. You cannot feed apons so"라고 답하는 식의 언중유골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왕이 fares를 does의 뜻으로 말한 것에 대해 햄릿은 다른 뜻인 먹다 eat으로 답하고, 여기서 카멜레온은 공기만 먹고 산다는 전설을 가지고 있는데, 자신이 약속으로 가득 찬 공기를 먹고 산다는 뜻은, 왕위계승자로 삼겠다는 말과 달리 그럴 의지를 보이지 않은 왕의 약속을 빗댄 표현으로 'air'는 발음이 동일한 'heir (후계자)'와 짝을 이루는 언어유희다. 이런 설명을 볼 때마다 원문을 읽지 않으면 이런 언어유희나 언중유골을 알 수 없음이 아쉽다. 해설도 모든 것을 다 다룰 수는 없을 것이니.


그리고 해석 후반부의 한 장은 내가 궁금한 것을 담고 있다.


5. 햄릿 왕자의 복수 지연

햄릿은 왕을 죽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기도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죽이면 왕이 천국을 갈 수 있다고 해서 죽이지 않는다. 그리고 복수를 미루면서 결국 왕과 왕비, 자신, 오필리어 그의 오빠 등 많은 사람이 마지막에 죽는다. 비극이다. 그래서 이것을 복수 지연으로 보고 햄릿이 우유부단의 대명사가 된다고도 한다. 이 책의 해설 또한 서두에

"햄릿의 복수 지연은 비극 '햄릿'의 주제다' p306

라고 못 박듯이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런 비극 속 결함이 있는 주인공은 멀리 아리스토텔레스까지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비극론에서 말한 '하마르티아 hamartia (비극의 주인공이 악의가 아닌 탁월한 재능과 고귀한 성품 탓에 파국을 맞는 것을 말하며 tragic flaw 라고도 불린다) 때문이다" p307
극에서도 셰익스피어는 의도적으로 햄릿과 대비되는 아버지 복수를 위해 전쟁을 준비하는 포틴브래스 왕자와 동생 오필리어의 죽음에 반란까지 일으키려는 레어티즈를 강하게 대비시킴으로써 햄릿의 우유부단함을 더 드러내려고 한 것 같다.
'살 것이냐 아니면 죽을 것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도 자살에 대한 것인지 왕의 생존을 말하는 것인지 의견이 분분하고, 이 햄릿의 복수 지연에 대해 수 세기 동안 수 많은 학자들이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다고 한다.

나는
- 천당에 보내는 것이 싫어서 왕을 죽일 기회를 미룬 것에 동의하고
- 포틴브래스는 권력이 안정적인 왕자의 자리에 있었으니 안정적으로 군사를 일으키려 할 수 있었고
- 동생 죽음에 격분한 레어티즈는 무모하고
- 무엇보다도 복수로 살인을 하는 것 자체가 잘 못 되었고, 왕실의 삼엄한 경비에서 어떻게 살인을 저지를 수 있겠는가
라고 햄릿을 변호하며 그는 '옥쇄'를 가지고 다닐 만큼 치밀하고 준비를 잘하고 미친 척하며 자신의 약점을 오히려 강점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해설이 나와 변론을 주고받기라도 한 듯이, 5장의 후반부에 나와 비슷한 의견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레어티즈도 쉽게 왕과 왕비가 있는 곳까지 폭도들과 함께 침입할 수 있을 만큼 왕실의 경비가 삼엄하지 않았고, 욱하는 성격의 햄릿이 왕비와의 이야기 중 누군가 커튼 뒤에 숨어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고의로 칼을 찌르며 왕이 인줄 알았다며 오필리어의 아버지를 쉽게 죽이는 대목은 나의 의견을 굉장히 강하게 반박한다.

그래서 이 책은 결국 


"햄릿에게 외적 어려움이 없었다는 것은 그의 복수 지연이 내적 어려움 (internal difficulty) 설, 곧 자신에게 기인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이중에서 작품으로부터 가장 견고한 뒷받침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우울증이다" p315

로 결론한다.


그래서 나와 해설은 햄릿의 '우울증'으로 합의했다. 일방적으로 나만의 합의이지만.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6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5-01 13: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5-01 14: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붕붕툐툐 2021-05-01 21:3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저는 다 읽은 기쁨에 해설은 늘 안 읽는 편인데, 해설을 읽으면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군요! 동음이의어는 정말 번역하면 물거품이 되버리는 거 같아요. 가끔 주를 달아주시는 분도 계시지만요. 우울증은 새로운 접근이면서도 흥미롭네요!!

초딩 2021-05-02 08:58   좋아요 3 | URL
정말 동음이의어 보고 있으면 원서를 보고 싶은데 그러면 또 ㅜㅜ 시간이 겁은 걸릴 것 같고 ㅎㅎ
저는 해설을 다 읽는 편인데, 책을 다 읽고 나면 해설에 집중하기는 힘들긴한데, 그래도 유명한 고전들의 해석은 또 하나의 책 같다는 생각으로 꾸역꾸역 읽고 있습니다. ㅎㅎ
오늘은 화창하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모나리자 2021-06-04 23:22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립니다~초딩님~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새파랑 2021-06-04 23:2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햄릿 당선이군요. 정말축하드려요. 이 리뷰 너무 인상적이었어요 ^^

서니데이 2021-06-04 23:2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초딩님 축하드립니다^^

페넬로페 2021-06-04 23:4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복수가 아무리 정당하다고 해도 그것을 실행할 때, 인간은 언제나 머뭇거릴 것 같습니다. 또한 그래야 인간적인 거고요.
그래서 전 햄릿이 우유부단하기보단 인간적 고뇌에 빠졌다고 생각했어요~~
햄릿은 여러 번 읽어야 그나마 조금은 알 것 같아요. 초딩님의 리뷰를 읽고-분명 전에 다 읽었습니다. ㅎㅎ-햄릿을 다시 읽고 싶어요^^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려요**

숨비북 2021-06-05 05:4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려요~^^

초란공 2021-06-05 10:4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초딩님 축하드려요~ 원문을 읽기는 까다롭지만 셰익스피어의 언어유희는 원문을 읽는 사람들의 즐거움이 될만한 부분인 것 같네요~ 그 유명한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비극을 한 편도 읽지 못했다니....저는 셰익스피어 늦깍이, 비극 감상을 지연하는 자로군요. ㅋㅋ

이하라 2021-06-05 10:50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드립니다^^

미미 2021-06-05 18: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초딩님 당선 축하드려요~^0^♥

붕붕툐툐 2021-06-06 0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초딩님, 감축드리옵니다~💕